[학술논문] 탈냉전기 냉전 인식의 전환 : 소설 『DMZ』(1996)와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2000)를 중심으로
이 글에서는 1996년에 발표된 박상연의 소설 『DMZ』와 2000년에 상연된 박찬욱의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를 비교하여 동일한 서사를 공유한 작품 안에서 분단의 문제가 다뤄지는 양상을 살펴봤다. 박상연의 소설은 1990년대 문학 장에서 주목받지 못했으나, 오히려 이 때문에 이 작품만이 지닌 개성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 작품에서 한국전쟁의 중립국행 포로가 등장하고 그가 재현되는 방식은 당시 문학 장에서 헤게모니를 지니고 있던 리얼리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의 담론과 어긋났다. 『DMZ』에서 중립국행 포로는 증언자의 권위를 확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의로운 삶을 살아낸 인물로도 재현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렇게 재현된 중립국행 포로의 형상은 서사적 현재에서 다뤄지는 판문점 살인 사건과 연결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