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완서 소설의 ‘공모’ 의식과 마음의 정치—1987년 이후와 박완서 소설의 1970년대 서사
박완서는 1989년 <복원되지 못하는 것들을 위하여>라는 단편소설을 발표한다. 1987년 전국적인 시위를 거쳐 대통령 직선제를 이루어내고서, 한국사회는 ‘1987년 민주화 이후’의 시기로 접어들었던 때이다. 1961년 박정희 군사 정권시절부터 전두환 대통령 시절을 거쳐 1987년에 비로소 이루어진 직접 선거제도는 민주주의의 상징처럼 한국사회를 기대와 희망으로 들뜨게 만든다. 그리고 실제로 1988년 월북작가의 해금조치를 비롯하여 과거사를 청산하는 여러 가지 복권운동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1970년 등단하여 줄곧 반공주의의 영향력을 다뤄온 박완서는 1970년대 어느 작은 마을에서 국회의원 선거를 치룰 때마다 마을의 주민들이 권력의 편에 서기 위해 스스로 선거...
[학위논문] 고려인삼에 대한 문화기억과 남북교류 방안
...인하여 중국과 같은 대국에 조공을 끊임없이 강요당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한반도의 생민들은 공납과 방납의 폐해로 이중의 수탈을 당하는 우리 민족의 수난사와 고려인삼이 함께하였다. 하
지만 고려인삼은 나라를 빼앗긴 식민지 백성들의 독립 의지와 자주성, 주체성을 고양하는 더없이 훌륭한 재원으로도 활용되었다.
그런 사실은 현대에 와서 박완서의 장편소설 <미망>에 잘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문화기억을 가진 고려인삼은 민족문화공통성의 기재로서 분단된 남북의 실제적인 교류에 긴밀하게 활용할 수 있는 민족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고려인삼의 남쪽에서의 위상은 건강식품이나 영약으로서 관광 상품화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이 강하고, 북에서는 고려의학에서 중요한...
[학술논문] 섬뜩한 심리 묘사와 ‘실재에의 열정’-박완서 소설에 대한 존재론적 독해-
본 연구는 박완서 소설의 섬뜩한 심리 묘사가 정신분석의 ‘실재’를 활자화하는 하나의 방법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인간 본성의 분열적 면모인 실재를 묘파하는 박완서의 작가정신을 ‘실재에의 열정’으로 새롭게 정위할 것이다. 이는 소시민성이나 허위의식에 대한 비판과 풍자 혹은 냉소 정도로 읽혀왔던 박완서의 작품 세계를 인간 본성의 근원적 지점을 탐구하는 것으로 재정의하는 일이다. 정신분석은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은폐되어야 하는 것, 그러나 분명히 실존하는 어떤 것을 지칭하기 위해 ‘실재’ 개념을 사용한다. 이는 의미상 ‘가상(외관)’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가상이란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서 영위하는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