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군종제도와 기독교
한국에서의 군종제도의 시작은 기독교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기독교 군목제도는 반공을 국시로 하고 다수의 기독교 신자들이 참여한 이승만 대 통령 시절에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초기부터 천주교도 신부들 도 참여했지만, 기독교 군목만큼 그 활동이 활발하지 못했다. 1960년대 후반 에 월남전이 발발하면서 불교도 파병된 한국 병사들을 위해 군승을 파송하 기 시작하면서 표면적으로는 세 종교가 선의의 경쟁을 하는 것처럼 보였으 나, 실제로는 적지 않은 종교적 갈등을 빚은 것도 사실이었다. 최근에 들어 햇볕정책을 비롯한 대북정책의 변화로 반공이라는 단어가 서 서히 사라지고, 북한이 더 이상 우리의 주적이 아니라는 이데올로기 진공의 정치적 상황은 군종 병과의 존폐를 위협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교 간의 과열경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