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국무부 재외공관문서(RG 84)와 한일회담
해방 후 한일회담 연구에서 한국과 일본 정부의 외교문서 이외 필수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또 하나의 자료는 미국 정부 문서이다. 그동안의 한일관계 연구가 보여주었듯 한일관계는 양국관계 뿐 아니라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국의 동북아시아정책 속에서 한국, 일본, 미국이라는 3국 관계 속에서 조망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은 강력한 중재를 통해 1951년 한일예비회담을 개최하게 만들었고, 이로써 한일회담이 시작되었다. 또한 한국과 일본 정부는 한일회담 과정에서 끊임없이 미국의 지지를 요청했고, 미국은 사안에 따라 개입과 유보, 중재 등의 형태로 한일회담에 개입하였다. 미국이 한일회담 과정에서 한일 간 현안 문제에 대해 보여준 인식과 대응은 각각 달랐다. 일본의 역청구권과 한국의 평화선 선포에 대해서는
[학술논문] 북한의 외국어 교육용 조선어 교재 연구-≪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1994․1995․2015․2017년 발행본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목적:이 연구는 북한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 교재인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의 시기별 발행본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1994년, 1995년, 2015년, 2017년 발행본을 대상으로 각각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학습 목표가 읽고 이해하는 것에서 자신의 의사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는 점, 내용도 문장 문법 중심에서 기초 회화 및 언어문화 지식 중심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유학생용 교재에 비해 이념적․선동적 표현이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학습 방법의 측면에서는 순차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원칙을 준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이 책은 조선어를 통해 북한의 사상적 체제와 문화를 습득하게 하려는 의도가 보인다는 점에서 기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