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기 냉전 인식의 전환 : 소설 『DMZ』(1996)와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2000)를 중심으로
이 글에서는 1996년에 발표된 박상연의 소설 『DMZ』와 2000년에 상연된 박찬욱의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를 비교하여 동일한 서사를 공유한 작품 안에서 분단의 문제가 다뤄지는 양상을 살펴봤다. 박상연의 소설은 1990년대 문학 장에서 주목받지 못했으나, 오히려 이 때문에 이 작품만이 지닌 개성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 작품에서 한국전쟁의 중립국행 포로가 등장하고 그가 재현되는 방식은 당시 문학 장에서 헤게모니를 지니고 있던 리얼리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의 담론과 어긋났다. 『DMZ』에서 중립국행 포로는 증언자의 권위를 확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의로운 삶을 살아낸 인물로도 재현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렇게 재현된 중립국행 포로의 형상은 서사적 현재에서 다뤄지는 판문점 살인 사건과 연결됨으로써...
[학술논문] 2000년대 분단영화의 남성인물 관계 및 공간 표상 -<공동경비구역 JSA>, <의형제>, <공작>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00년대 등장한 다수의 분단영화 중에서 간첩영화와 남성 버디무비의 성격을 띤 세 편의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박찬욱, 2000), <의형제>(장훈,2010), <공작>(윤종빈, 2018)을 중심 텍스트로 하여 남북 남성주인공의 관계 변화와 주요 공간적 배경의 차이와 상징성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동경비구역 JSA>는 2000년대 분단영화의 서막을 연 작품으로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남북관계를 제시한다. 남북한 병사들이 비무장지대에서 만나 친구가 되고 북한군 초소에서 어울리는 것이다. <의형제>는 북에서 버림받은 남파 간첩이 생계형 간첩으로 살아가며 국정원에서 버림받은 전직 남한 요원과 동업을 하는 이야기다. 친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