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청소년 126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통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0.30, p=.003)에는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0.41, p<.001)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는 없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유의한 영향(LL 95% CI –0.093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이 생각하는 남·북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시급성(urgency)과 심각성(severity)
이 글은 남한에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생각하는 북한주민과 남한주민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시급성을 살펴보고 정신질환에 대한 심각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이 바라보는 남·북한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북한이탈주민 전문 상담사의 도움을 받아 스노볼 샘플링(snowball sampling)을 사용하였다. 하나센터를 통해 지역별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52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이 생각하는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시급성은 남한이 북한보다 더 문제가 많다고 생각하였으나, 각 질병별 구체적인 정신건강문제를 보면 많은 부분에서 북한의 정신건강문제가 남한보다 더 강도가 높게 문제가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건강증진생활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과 같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특히 성인에 비해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청소년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에서 제외된 설문지 65부를 제외한 8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자아, 학교 자아, 스트레스가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