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 이후 한국적 매카시즘의 탄생 ―조문 파동과 주사파 발언을 통해 드러난 매카시즘―
McCarthyism took shape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and McCarthyism in South Korea was formed during the post-democratization era.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system around the world, and democratization in South Korea, made the Korean conservative groups feel threatened, and concerned that they might lose their privileges and advantages. Such worries spreaded through conservative major mass media
[학술논문] 박홍근의 월남 동기와 월남 직후 동시의 주체 형성
박홍근은 전쟁 중 국군을 따라서 월남한 아동문학가이다. 그는 북한에 있을 때인 1946년 『새길신문』을 통해서 등단하였는데, 이 시기 북한은 ‘평양예술문화협회’와 ‘프로예맹’이 통합하여 ‘북조선예술총연맹’으로 확대(1946. 3. 25.)되었고, 곧이어 그 명칭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 개칭(1946. 10. 13.~14.)하였다. 이때 북한은 이른바 ‘『응향』 사건’(1946. 12.)을 통해서 북한문학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공고히 해 나갔다. 한편 아동문학에서도 ‘아동문화사 사건’(1947) 등을 통해서 사상성을 검증하였다. 이런 와중에 등단을 한 박홍근은 그의 문학관이 이런
[학술논문]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응 - ‘왕이 이니셔티브’의 배경과 함의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China's response to North Korea's nuclear brinkmanship since the latter's fourth nuclear test in January 2016. The case of this article is so-called 'the Wang Yi initiative' which was suggested by Chinese Foreign Minister Wang Yi in February 2016. In his initiative, Wang Yi proposed that countries concerned continue to work on parallel tracks for
[학술논문] 북한 서해안권의 항만선택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한반도의 서해안권은 동남아시아, 태평양, 중국의 동북3성, 러시아 등 글로벌공급사슬관리를 연결하는 중요한 지리적 위치에 있다. 북한은 서해안경제특구를 활용하여 경제발전을 진행하며 항만물류 영역에서 남북 협력 사업은 남북한과 중국동북 3성 및 러시아 등 유라시아 연계된 국제 복합물류망 구축이 목표이다. 북한의 서해안 항만개발은 남북한 항만공동개발 및 공동운영이 필요하며 중요한 전략적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북한 항만의 선택적 정책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측정영역과 측정요소를 설계하고 분석방법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항만공사 등의 민간차원에서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요구되며. 제2계층의 평가속성은 해운·항만
[학술논문] 북한의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남북한 MICE 공동개최 방안에 관한 연구
In order to achieve the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s, it is vital to minimize the economic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Expecially for North Korea, it is a must for the country to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mage of the country in the international markets. South Korea also has to fully cooperate in order to upgrade the overall strengths and image of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