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하운 시집 사건’(1953)의 의미와 이병철
...출간되자, 「민족적 미움을 주자―적기가(赤旗歌) 『한하운시초』와 그 배후자」(이정선)라는 글이 발표되었다. 이 글은 시집 『한하운시초』가 공산주의 선전 선동의 기제이고, 작가 한하운은 아바타에 불과하고 이병철이 배후 조종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기사가 여론을 증폭시켜 치안국, 검찰청, 국회까지 개입하게 되고, 이 사건은 휴전 직후 남한 문학장에 반공 냉전 프레임을 조성하고 문단이 재편성되는 사태를 초래했다. 본고는 『한하운시초』 초판(1949년 5월 발행)을 편집하고 발행을 주선한 시인 이병철을 중심에 놓고 ‘한하운 시집 사건’을 추적해 보았다. 해방기 전위시인 이병철은, 1948년 8월 남한단독정부 수립과 그해 12월 국가보안법 공포 이후 법의 바깥에서 지하활동을 전개하며 사회적 타자로...
[학술논문] 권위주의 정권 시기 반공주의의 유산과 한국정치: 북한요인 동원의 지속과 변화
...연구의 질문은 유신체제 이후 반공주의 약화라는 점진적인 추세 속에서 전두환 정권은 물론이고 노태우, 그리고 김영삼 정권조차 북한요인 동원이나 친북·용공 프레임 활용에서 왜 과거의 권위주의 정권과 비교하여 별반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가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그 원인은 분단체제 하 반공주의와 결합한 자유민주주의와 보수적 지배구조의 한계 때문이었다. 그와 같은 한계로 인해 정치사회나 시민사회에서 민주지향성이 반공지향성을 넘어서거나 압도하지 못했다. 또한 북한의 무력도발과 선거 시 특정 후보 공격과 지지 등 국내정치 개입이 정권에 의한 북한요인의 정략적 동원이나 친북·용공프레임 설정이 먹혀들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고 힘을 실어주었다. 그리고 민주화 및 탈냉전은 물론이고 총체적 국력 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