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적 관점에서 본 발해유적에 대한북한의 연구동향
본 연구는 건축적 관점에서 발해유적에 대한 북한의 연구동향을 관련 학술지논문,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및 묶음집을 대상으로 살펴보았고, 이들 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그 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이를 통해 어떠한 주제에 어떠한 점이 부족한지,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분야가 어디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지금까지 2,000년 이후 북한에서 발표된 발해유적 관련 글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발해유적 총론, ㉡발해 성곽․도성․궁전유적, ㉢발해 살림집유적, ㉣발해 24개돌유적, ㉤발해 유물, ㉥발해 교통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주제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주제가 ㉡발해 성곽․도성․궁전유적 관련 논문이었다. 발굴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발굴내용이 주로 상경성, 서고성
[학술논문] 북한의 발해건축 관련 연구와 향후 우리의 과제
본 연구는 발해유적과 유물을 대상으로 북한에서 수행된 발해건축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학술지논문, 단행본, 발굴조사보고서 및 묶음집을 대상으로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이후 2010년대 현재(2018년)까지 년대별로 나누어 정리해 보았다. 이를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여 해당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제별 분석을 통하여 북한의 연구결과를 비판해 보고, 앞으로 우리의 연구방향과 향후 어떠한 주제를 발굴ㆍ개척해 나가야 할지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를 시작한 1960년대부터 2018년 7월까지 조사ㆍ분석된 발해건축 관련 학술지논문을 주제별로 분류해 보면 ㉠발해유적 총론 및 계승관계(8편), ㉡발굴간보 및 평가 관련(6편), ㉢성곽ㆍ도성ㆍ궁전유적 관련(29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