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발해사왜곡논리와 대응방안
Since the adoption of the Northeast Asia Project, China has shown two series of movements:First, China has damaged the original states of Balhae relics through a full-blown development approach. The Balhae relics they restored in Shang Jing Cheng have their original forms damaged and show a lot of problems with the restoration results. 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comprehensive in-house investigation
[학술논문] 함경도 일대 고분 조사와 북한의 발해 고분 연구
... 이 일대의 특징이다. 부장품에서도 부장된 기승용 마구나 금제 태환이식은 고구려와 유사성을 보이며, 마구 중에는 신라의 것과 형태적 유사성을 보이기도 한다. 복합적인 양상의 함경도 일대 고분을 북한에서는 모두 발해 고분으로 간주하고, 구조의 유사성으로 발해 고분의 고구려 계승을 해석하며, 고구려 계승에는 주민의 계승을 포함하여 고구려에서 발해로의 주체적 역사발전을 강조한다. 북한의 이러한 해석은 함경도 일대에서 고구려에서 발해, 고려로의 계기적 이행이 간과된 것으로 이는 향후 함경도 일대 고분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과제이다.
[학술논문] 북한 함경북도 청진시 부거리 일대 발해 고분 연구
... 이후부터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조성 집단은 고구려 멸망 이후 잔존했던 고구려 유민들이 주를 이루고, 이들과 잡거했던 말갈인들 그리고 이질적인 문화들을 만들어낸 발해 시기의 주민들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다만 토기 저부에서 확인되는 고리형의 사절흔은 이 무덤들 중 일부는 발해 멸망 이후 그 잔존 세력들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부거리 일대의 석축묘들은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