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발해사왜곡논리와 대응방안
Since the adoption of the Northeast Asia Project, China has shown two series of movements:First, China has damaged the original states of Balhae relics through a full-blown development approach. The Balhae relics they restored in Shang Jing Cheng have their original forms damaged and show a lot of problems with the restoration results. In addition, there has been no comprehensive in-house investigation
[학술논문] 린드 4세대 전쟁론의 재조명 - 4세대 전쟁론 비판에 대한 반증을 중심으로 -
...설명하는 이론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후 미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4세대 전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이론에 대한 비판들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들은 4세대 전쟁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윌리엄 린드(William S. Lind)의 이론에 대한 그릇된 해석과 토머스 햄즈(Thomas X. Hammes) 같은 일부 학자들의 자의적인 해석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린드 4세대 전쟁을 정확히 이해하고, 군사학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데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4세대 전쟁론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은 세대론 모델, 전쟁 주체, 역사 해석에 대한 문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들은 린드가 논문에서 미처 자세히 설명하지 못한 진화론과 변증법을 통해...
[학위논문] 북한 문학 교육 연구 : 『국어문학』과 『문학』 교과서 비교 고찰
...가지 변화를 보이게 된다.
북한 문학사 및 이론에 대한 기술은 1970~1980년대는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1975)에, 1990년대 이후는 『주체문학론』(1992)에 근거하게 된다. 따라서 문학 이론 단원에서 나타나는 문학 용어 및 수록 내용의 변화, 문학사 단원에서 나타나는 고구려와 발해 문학의 강조, 후기신라에 대한 언급, 시조 문학에 대한 자세한 수록, 실학파 문학의 우수성 인정, 비판적사실주의문학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 계몽기 문학사의 수록, 김정일 친필활동에 대한 기술 등의 변화는 김일성에서 김정일로의 변화,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에서 『주체문학론』으로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다.
1997년 개편된 『문학』 교과서에는 새롭게 47편의...
[학술논문] 북한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 번역에 나타난 역사인물의 특징
...마련하고 김일성의 주체사상이 강화된 역사관으로 재정비되는 과정에서 충효사상에 바탕을 둔 사회주의 애국심으로 형성되었다. 그 결과, 2010년 본은 1956년 본과 비교하여 삭제된 부분도 많고 왜곡된 해석도 많아졌다. 김정은 정권에 들어오면, 강성한 국가의 믿음직한 후비대가 되기 위해서 역사를 배우고 창조적인 능력을 키우고 조국 통일 위업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 강화된다. 홍양호가 저술한 『해동명장전』은 북한에서 출판되는 과정 속에서 역사인물이 삭제되었다. 나라를 배반하고 백제부흥운동에 참여했지만 당으로 들어간 흑치상지와, 북한사회에서 철저하게 외면당한 김부식, 외세를 끌어들여 통일을 이룬 김유신에 대한 서사가 그렇다. 이 과정에서 북한 사회는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고조선-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학술논문]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 변화와 고구려사 - 『민족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대체로 유지되고 있다. 그 중 1980년대 후반 ‘조선민족제일주의’라는 구호가 전면을 등장하였음이 주목되며, 이 구호를 선전하기 위해 지난 2001년부터는 문화유산 전문 대중잡지로서 『민족문화유산』을 발행하고 있다. 『민족문화유산』의 목차는 주체성과 민족성의 고수라는 기본 원칙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위한 방향으로 구성된다. 해방 이후 북한의 역사학계는 ‘고조선 – 고구려 – (발해) - 고려 – 북한’으로 이어지는 역사의식을 확립했다. 이를 반영하듯 『민족문화유산』 의 지면에서는 고구려 관련 기사가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고구려의 우월한 군사 역량 및 팽창정책에 대한 서술이 자주 등장한다. 또한 고구려의 문화가 백제, 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