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대비 소비자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통일 소비자교육은 ‘통일사회를 대비하고 완성시키는 데 요구되는 소비자역할을 자각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가치관 및 태도를 습득하게 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통일 소비자교육은 통일후유증을 최소화하고 남북통합에 드는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하고 통일교육과 소비자교육의 연계를 도모하여 우리사회 각 부문의 통일준비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통일대비 소비자교육은 소비생활에서의남북한 적응 및 통합이 통일한국 경제 성장의 첫 출발이 될 것이며, 그 기본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사회에 걸맞는 공생적 소비가치와 태도․행동을 촉구하는 소비자교육 강화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대상과 연령에 따른 소비자교육 목표 및 내용 재정립이 선행되어야
[학술논문]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 수립을 위한 소고
광복 70주년, 대한민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점검하면서 통일에 대한 논의도 다시 확산되고 있다. 통일이 언제,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질지에 대해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통일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해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소비자정책에 있어서도 통일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소비자안전, 거래, 교육, 정보, 피해구제 등 소비생활 전 영역에서 시장 및 사회적 불안정기간이 장기화될 수 있고, 소비격차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은 사회 불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의 통합적 개념 틀 도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그 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 대비 소비자정책을 수립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