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주체적 소비역량이 모든 영역의 소비생활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인적자본은 소비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또한 소비자역량을 통한 간접효과로 의미있는 요인이었다. 특히 억양차이, 직업훈련 등 남한에서 형성된 인적자본의 효과가 컸다. 사회적 자본의 효과는 미미하거나 복합적이었으며, 경제적 특성은 소비자역량을 통한 간접효과만 나타내었다. 나이, 건강상태, 배우자 등 개인적 특성은 소비생활적응 영역에 따라 다소 다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역량이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에 핵심적인 변인이며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개입 시 반드시 다루어야 할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확대하고, 취약함과 연결되는 개인적 특성을...
[학술논문] 社會主義國家에 있어서 相續 - 北韓·中國에 있어서 妻의 相續分을 中心으로 -
Capitalism is one of the social systems which now exists in most countries of theworld including South Korea after the formal dissolution of the USSR in December1991 and the collapse of Communist regimes. Most capitalist countries have adoptedliberal democracy as a form of government in which representative democracyoperates under the principles of liberalism protecting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학술논문] 남북한 가족가치관의 비교고찰
...결혼관에서는 영예군인과의 결혼, 검소한 결혼식을 장려하였고, 부부관에서 혁명적 동지애를 강조하였다. 또한 자녀관에서 사회주의 혁명역군인 자녀출산과 양육을 강조하고, 가족부양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남북한 가족가치관을 비교해 보면, 첫째, 모두 강한 가족주의를 근간으로 하지만 북한은 국가가, 남한은 개인이 우선시된다. 둘째, 법률혼을 원칙으로 하나 이성교제, 배우자 선택기준, 이혼 등에서 북한은 제한이 많은 반면, 남한은 자유로운 선택이 우선시된다. 셋째, 모두 부부관계의 평등성을 전제로 하나 북한은 역할인식 및 수행에서의 불평등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넷째, 모두 출산을 장려하고 자녀양육의 주체도 유사하나 자녀교육의 목표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모두 부양의식을 미풍양속으로 간주하나 남한의 가족부양의식은 북한에...
[학술논문] 평북 방언 친족어 연구 -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 -
...‘가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아바지’가 사용되어 ‘가시+아바지’로 되며, 화자와 같은 세대에는 접두요소로 ‘처-’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헝/제’가 사용되어 ‘처+헝/제’로 된다. 다음으로 항렬이 같은 세대일 경우에는 동생의 배우자만이 호칭을 가지고 그 외의 친족원은 ‘이름+아/야’로 호칭을 하다가 결혼하고 자녀가 있으면 모두 ‘X아바지’나 ‘X오마니’로 호칭을 바꾼다. 이 지역의 친족명칭은 모두 고유어 명칭과 한자어 명칭으로 구성되는데 부계 친족원이나 처계 친족원에서는 고유어 명칭이 훨씬 많고 모계 친족원에서는 이와...
[학술논문] 남한 내 북한주민 관련 가족법적 실무상 쟁점
...증거조사를 통해 심리하여야 할 것이고, 북한 지역에 대한 송달은 외국에서 하는 송달에 준하여 하면 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 들어와 처음 겪게 되는 가족법적 문제인 가족관계 등록창설과 관련해서는 관련 규정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는데, 현재는 통일부장관이 직권으로 서울가정법원에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함으로써 그 절차가 간결하고 명확해졌다. 북한 배우자와의 이혼소송과 관련해서는 북한이탈주민법 제19조의2가 호적예규 제644호 적용 이후에 취적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는 재판관할권, 토지관할, 송달의 문제를 명확히 규정하였는데, 이는 규범영역설에 따른 국제사법 유추적용설을 입법화한 것이다. 위 규정의 적용 대상이 아닌 북한이탈주민이 이혼소송을 하거나 혼인무효확인 소송을 하는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절차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