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문화 동질성 회복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 (5) - 남북한 서예문화교류 현황분석 및 국제관계에서 공동 대응방안 모색
...서예문화교류 현황분석 및 국제관계에서 공동 대응방안 모색」이다. 대주제「남북 문화 동질성 회복을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관련, 지금까지 작성한 소주제 논문 현황 :①「근대기, 남북한 서예문화 분화 초창기 현황 고찰」(한국동양예술학회.2024), ②「북한의 서예시원 및 주체서예 성장·발전과정 고찰」(한국서예학회.2024), ③「북한의 백두산3대장군 서체와 한글서체분류체계 고찰」(한국동양예술학회.2024) ④「남북한 학교 서예교육현황 비교 고찰」(한국동양예술학회,2024) 남북한은 분단이후 교류가 크게 제한을 받아왔으나 1980년대 탈냉전시기 이후에야 교류가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그런데 서예문화교류는 다른 분야에 비하여 절대적으로 미흡하였다. 관련된 연구와 축적된 지식도 거의 없는 상태다...
[학술논문]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
...중국은 백두산을 ‘창바이산(중국에서 부르는 백두산 명칭) 식생수직경관 및 화산 지모 경관’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연유산 잠정목록에 신청하였다. 이어 202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등재 신청을 하였다. 최근에는 백두산 관광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것은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움직임과 맥을 같이한다.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이전의 답사 자료들과 최근 중국의 기사를 바탕으로 중국의 백두산 공정, 소위 ‘창바이산문화건설공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6년 설립한 창바이산관리위는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 복합유산에 등재시키기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창바이산문화건설공정’으로...
[학술논문] 발해유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전망과 대응 방안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하는 것은 정치・외교 사안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국내 발해 연구자들을 육성하고, 유네스코 신탁기금을 통해 한국이 주도적으로 동아시아 고대 국가들의 문화유산을 폭넓은 관점에서 공동 연구하는 사업을 추진해 볼 수 있다. 중국은 2002년 동북공정을 실시한 이후 2004년 중국 내 고구려유적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였다. 2017년에는 백두산의 중국 쪽 지역을 세계자연유산 잠정목록에 등록하였으며, 이제 발해유적을 세계문화유산으로 올리기 위해 먼저 잠정목록에 등록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 같은 일련의 움직임은 중국의 전반적인 사회 통합 및 역사 재정립 흐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아직도 많은 나라에서 문화유적이 훼손되는 상황에서 발해유적을...
[학술논문] 중국의 백두산 관광정책과 뉴패러다임
...문화관광산업을 육성했다. 특히 길림성 정부에서는 “제12차 5개년(2011~2015) 계획” 기간 ‘장백산문화건설공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것은 백두산 권역의 생태문화 관광산업을 육성하고 백두산의 귀속권과 주도권을 강화시키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장백산이 중국의 산이라고 하는 ‘장백산 문화론’을 주창하고 있다. 또한 겨울철의 얼음과 눈, 여름철의 피서 여행, 봄과 가을철의 자연생태 관광, 레저·스포츠 대회, 각종 축제, 민속문화 등을 결합시켜 백두산 권역을 세계적인 수준의 관광 휴양지를 조성하고 있다. 백두산 권역에서는 자연생태 스포츠센터, 관광 리조트, 스키장, 온천 휴양지, 관광열차 노선이 만들어지고 있다. 더 나아가 중국정부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