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권시기별 ‘북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 관련 보도양상과 프레임: 보수지와 진보지, 그리고 지역지간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 한국 신문의 보도양상과 미디어 프레임을 분석함으로써 외교안보적 사안을 둘 러싼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정파성이 정권시기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알 아보고자 했다. 내용분석을 통해 드러난 분석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 차원으로 요 약된다. 먼저, 보도양상과 관련하여 한국 언론의 이데올로기적 정파성을 부분적으 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와중에 정권의 대언론 정책의 내용과 강도가 보도의 형 식과 내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또한 이데올로기적 정파성을 적용하는 방식에 전국지와 지역지 사이에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다음으로, 한국 언론의 이데올로기적 정파성은 미디어 프레임을 통해서 더욱 구체적이고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정파성이 보도양상이라는 외형적 전략보다는...
[학술논문] ‘북미정상회담’에 관한 한일 신문 사설 비교 연구 ‒조선일보, 한겨레,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을 중심으로‒
...Coder’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별 보도량에서는 한국 신문들이 일본 신문들보다, 이념 성향별 보도량에서는 보수신문들이 진보 신문들보다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하여 더 많은 사설을 게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회담 시기별 보도량에서는 1차 회담이 2차 회담보다 사설의 보도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한일 양국 신문의 보도 양상은 국가 이익과 언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국 언론의 경우 사설을 통해 설정한 의제는 대동소이했지만, 의제를 바라보는 방식과 해법은 신문의 보수, 진보 성향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인 북핵 문제는 한국 신문의 이념적 성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이슈였으나, 이번 연구 결과에서도 비핵화 문제를...
[학술논문] 북한의 미디어 외교 연구: 약자의 국제사회 여론전
...미디어의 외교적 특성을 살펴보고, 정책적 실마리를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국제사회의 이슈가 복잡 다양해지면서 행위자들 또한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미디어는 정보전달이라는 고전적 기능을 넘어 외교적(diplomacy)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북미관계의 중대 사건을 기점으로 당 기관지 『로동신문』의 보도양상과 의미화 전략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 확인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로동신문』은 국변별로 차별화된 보도주제, 대미인식을 보임으로써 북미관계에 적극적으로 동조 혹은 이탈하는 경향을 보였다. 의미화 전략 역시 ‘갈등’과 ‘평화’, ‘국제’ 문제로 달리 포장하면서 스스로 국가이익을 대변하는 모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