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
...本末寺의 사찰재산을 기록하고 있는 『조선사찰귀중재산목록』 가운데 8개 本末寺가 현재 북한지역에 속한다.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재산 목록 가운데 불교 고문헌을 정리하고, 또 한국전쟁 이후에 작성된 김일성종합대학의 불교 고문헌 목록을 정리하여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북한 소재 8개 本寺는 유점사, 패엽사, 성불사, 영명사, 법흥사, 보현사, 석왕사, 귀주사이다. 이 사찰들과 그 末寺의 소장 불교 고문헌은 佛書類, 木板類, 寺誌類 등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불서류는 현재 국내에서도 구할 수 있는 자료가 대부분이지만 목판류와 사지류는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북한 방문을 통한 조사 및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조선시대 국왕의 어필을 비롯하여 조정에서 발급한 완문...
[학술논문]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사찰 불교회화의 현황과 과제
...형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불단, 불상, 공예품과 함께 촬영되었기에 전각 내부에서 불화의 총체적인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1911년 제정된 사찰령은 식민지 문화정책의 방향과 목적을 드러내는데, 불교문화재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를 초래했다. 예배 존상으로서의 성보가 재화적 의미의 귀중품으로 인식되었다. 임진왜란 의승병을 위해 정조가 사액하여 만든 보현사 수충사에 삼화승 진영과 나란히 일본 임제종 개산조 진영이 봉안된 사례나, 식민통치 20주년 시정을 과시하기 위해 1929년에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에 출품된 나옹화상계첩은 식민지 상황의 교단이 당면한 환경을 보여준다. 또한 중봉 혜호, 석옹 철유, 혜산 축연 등 금강산 불화승의 사례를 통해 개항기 불교미술품의 제작 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도로와 철도의...
[학술논문] 북한 소재 조선후기 불교조각 연구
...이들 불상 가운데 연탄 심원사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의 현진 계보의 조각승이, 배천 강서사 목조여래좌상과 목조대세지보살좌상은 17세기 중반의 영철 계보의 조각승이, 안악 월정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은 17세기 후반의 금문 계보의 조각승이, 회양 장안사 대웅전 목조삼세불과 사보살상(소실), 현존하는 평북 향산 보현사 영산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과 향산 보현사 불영대 및 하비로암에 봉안된 불상은 18세기 전반의 조각승 진열이, 순안 동금강암 목조여래좌상은 18세기 후반 봉현 계보의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회양 장안사 대웅전 목조삼세불과 사보살상(소실)은 1702년에 귀옥(歸玉)이 대웅전을 중수하면서 조성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귀옥과 진열은 1713년 고양 상운사 목조삼세불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