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심리적 문제
...외상경험 이후 보이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불안을 설명하는 적응 관련 요인, 탈북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비교집단으로 남한 주민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8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우울, 불안을 설명하는 적응관련 요인은 정착금액만족도, 입국도움, 탈북이후 기간, 언어생활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탈북 직후에 상승한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6~8년 사이에 다시 정점을 이루는 양상을 보였고 그 중 정서의 불안정성, 신체화 증상은...
[학위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응과 지원 대책 연구 : 경기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학교 밖에서의 폭력 노출 등의 소속감 결여와 고립화로 인한 문제가 중첩되어 학업을 중단하는 사례가 많다 사회에서는 체제와 가치관의 급격한 차이, 또래 친구들과의 교류 단절과 집단 따돌림, 부적응에 따른 일탈 행위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증상별로 그 원인이 다른데, 불안 증상은 북한이탈 과정에서의 도피생활, 가족과의 죽음과 이별, 체포와 송환의 두려움과 공포심의 축적 등에 의해 발생한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증세는 북에 두고 온 가족들에 대한 죄책감 표출, 대인기피증, 상대적 좌절감과 소외감, 등으로 인한 사회적 일탈 행위 등은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고 있다 아울러 북한 출신의 특징과 열등의식, 외적환경과 현실에 대한 적응력 부족, 사회적 지지체계의 불완전성, 정체성 혼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