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봉쇄된 목소리와 회수되는 여성의 자기서사 -다큐멘터리 영화
...증거에 기반하여 어머니 정병춘이 자신의 삶을 거짓으로 증언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재일 1세들의 경험이 가로새겨진 여러 가지 맥락들에 주의를 기울여 그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는 시도는 의미 있는 것이다. 국가의 공식기억 앞에서 침묵당한 서발턴으로서 재일 1세의 기억을 복원하고 그들을 포스트식민적 주체로 호명하고자 하는 기획이 이러한 목소리에 담겨져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병춘/가나모토 하루코라는 여성을 바라보고 그녀를 주체로 호명하고자 하는 시각이 놓여진 그늘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은 또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영화의 초반부에 어머니의 삶의 이력을 소개하면서, “지켜야 할 것은 법률보다는 가족. 어머니의 체포 이력은 37회에 이른다.”라고 이야기했던 아들(카메라)의...
[학위논문] 1953~1971년 유엔의 한반도 분단 관리 구조의 형성과 전개
...문제에 개입할 유엔의 권한과 권위를 인정할 것, 유엔 감독하의 자유 선거를 통해 한반도를 통일할 것을 골자로 한다. 이는 6.25전쟁에서 유엔을 적으로 맞아 싸운 북한·중국 입장에서 수용할 수 없는 방안이었고, 그런 점에서 ‘2대 원칙’은 미국과 남한이 분단 상태의 현상 유지를 정당화하고 북한·중국에 대한 봉쇄를 지속하는 근거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목할 부분은 인도가 수행한 역할이다. 인도는 중립 노선의 추구라는 차원에서, 또한 인접한 중국과의 안정적 관계를 유지한다는 차원에서 한반도 문제의 중재 역할을 자임했다. 미국은 거대한 영토·인구를 갖추었으며, 신생독립국의 지도 국가로 부상한 인도의 국제적 위치를 의식했고, 국제회담 개최 등...
[학술논문]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의 게임이론적 분석:중국과 북핵문제의 교차점
...재균형)’전략으로서 미국은 힘과 권력이 커지는 중국을 봉쇄하려는 저의를 숨기지 않는다. 중국은 경쟁국이면서 동시에 경제 상호의존국이기 때문에 미국은 견제와 협력전략을 동시에 구가하는 복합적 접근을 취할 수밖에 없다. 중국 역시 ‘일대일로’와 역내 경제협정 ‘RCEP’을 주도하며 미국 동맹국에 맞서고 있다.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정책이 점점 공세적으로 되어간다면 현재 북한정책은 표류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의 미국의 정책 선택이 쉽지 않다. 과거 미 정부 특성에 따라 외교중심 또는 압박중심의 전략을 펼쳤지만, 지금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어 미국 국내에는 북핵 정책이 모두 실패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심지어 북핵 협상 무용론・비관론이 계속 제기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