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선사 관음보살좌상을 통해 본 18세기 서울지역으로의 불상 이운 배경: 북한산성 승영사찰 개창을 중심으로
...북한산성의 축성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북한산성의 방비 및 산성의 유지를 위해 10여개의 사찰들을 새롭게 중창 되게 된다. 북한산성의 축성은 그 주변 일대 진관사와 도선사 등 사찰들이 중창되는 새로운 계기가 되었고, 승영사찰과 산성 아래 사찰들에 봉안되기 위한 다수의 불상들이 이운된 것이 현재까지 공개된 조성원문을 통해 확인된다. 이번 연구는 서울, 특히 강북일대 사찰들에 봉안된 조선 후기 불상들의 이운배경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성북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은평구 등에 봉안되어있는 대부분의 불상들은 승영사찰의 축성으로 이운된 불상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존의 조선 후기 불교조각의 연구가 승려장인의 작가론에 입각한 논의에 머물렀다면, 이번 연구는 불상 이운의 사회적·역사적 배경에 대한 해석을 시도했다는...
[학술논문] 고성 조제암의 역사 복원 시고
본고는 민통선 내에 위치하였던 고성 조제암의 역사를 복원하고자 한 연구이다. 조제암은 본사인 건봉사와 남북 분단 이후 민통선 지대에 위치하여 관심을 별로 갖지 못하였다. 본사인 건봉사는 일제강점기 31본산의 큰 사찰로 사명 유정의 진신사리 봉안과 더불어 현대에 들어와 주목을 받아 복원되었으나 조제암은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조제암의 역사는 일제강점기 만해 한용운과 건봉사 주지 대련 덕문이 『건봉사지』를 편찬하면서 간략한 연혁이 정리되었다. 그 가운데 진표와 나옹, 세조 관련 금강산과 관동 일대의 제기록을 통해 조제암의 근세이전의 역사를 입증하고자 하였지만 사실로 인정될 개연성이 높다. 조선후기 이후 조제암의 역사는 제 읍지류와 불교 지리지류, 그리고 『혼원집』의 중건기에 의해 간략하나마 대략적인 역사를...
[학술논문] 북한 소재 조선후기 불교조각 연구
...14퍼센트에 해당하는 59개 밖에 남지 않았다. 현존하는 사찰인 평양 용화사(1980년과 1984년 복원), 평양 광법사(1991년 복원), 황북 개풍 영통사(2005년 복원), 강원 고성 신계사(2007년 복원) 등도 전쟁이 끝나고 복원된 곳이다. 현재 27개 사찰 중에 192점의 불교조각이 봉안되어 있다, 이 가운데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은 13개 곳에 72점(성불사 나한상은 수량이 많아 제외)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들을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사찰 재산대장이나 조선총독부 관보와 비교해 보면, 대부분 재료와 규격 등이 달라 한국전쟁 이후에 사찰을 복원하면서 이운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불상 가운데 연탄 심원사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의 현진 계보의 조각승이, 배천...
[학술논문] 고종 대 책보의 봉안과 이동 - 북한행궁과 종묘 봉안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이후 왕실 책보의 관리와 봉안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조선후기 책보의 주요 봉안처는 강화도 行宮이나 外奎章 閣이었다. 그러나 병인양요로 외규장각이 소실된 후 왕실 책보는 궁궐 내 전각에 보관되었다. 기존의 임시 보관처였던 창덕궁의 서향각과 주합루 외 경복궁의 전각으로까지 봉안처가 확대되었다. 1873년(고종 10)에 경복궁 근정전의 편전이었던 修政殿에책보를 봉안하기 시작하였으며, 1875년(고종 12)에는 건청궁 내 觀文閣이 새로운 봉안처로 되었다. 당시에는 경복궁과 창덕궁을 오가며 거처하였던 왕을 따라 책보도 옮겨다녔다. 그러나 궁궐의 화재와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의 정치적 혼란 속에서 경복궁 과 창덕궁은 책보의 안정을 보장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1885년(고종...
[학술논문] 북한산성 행궁과 「돈녕보첩」의 봉안
본 논문은 북한산성 행궁의 건립 과정을 살펴보고, 북한산성 행궁에 봉안해 두었던 「돈녕보첩」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북한산성 행궁에는 건립 이후부터 「돈녕보첩」 등을 봉안해두고 관리하였는데, 1909년에 행궁에서 소장하고 있던 모든 자료를 정리하여 「북한책목록」으로 작성하였다. 「북한책목록」에는 「돈녕보첩」을 비롯하여 인신, 등록, 의궤, 윤음 등 다양한 자료가 기록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 「돈녕보첩」에 주목하여 북한산성 행궁의 건립 과정과 「돈녕보첩」의 봉안 과정, 언제부터 북한산성 행궁에 「돈녕보첩」을 봉안하고 있었는지, 「북한책목록」에 수록된 「돈녕보첩」의 수록 현황과 실제 현존 자료의 상황 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