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ʻ감각ʼ되는 ʻ장소ʼ와 북한이탈여성의 ʻ젠더ʼ화된 장소 감각
...이동과 북·중 경계지역의 다층적 관계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월경을 감행한 대부분의 북한주민이 경계지역 출신이었다는 점을 주목하고, 이들에게 있어 북·중 경계지역은 국경으로 구획된 것이 아니라 일상의 공간(들)으로 작동하였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경계지역 북한주민은 북·중 경계지역을 관통하는 다양한 삶의 경험을 통해 그들만의 장소 감각을 구축하여 이 지역을 자신들의 정체성의 ʻ장소ʼ로 실천하고 있다. 즉 북한주민은 신체를 통해 북·중 경계지역을 감각하였고, 이를 통해 구축된 친밀감을 바탕으로 한 장소 감각은 이들의 대량 탈북의 동인이 되기도 하고, 이후 이들이 불법적인 신분에도 불구하고 경계지역에 정주하게 한 배경이 된다. 하지만 장소로의 북·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