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정부의 통일정책과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관계
...남북화해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7.4남북공동성명에 충격을 받았으며 이 성명의 3대 통일원칙 중에서 자주의 원칙과 민족대단결의 원칙을 경계하였다. 교회의 통일운동을 자극한 것은 1981년 조국통일기독자회의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대화(‘조국통일에 관한 북과 해외동포, 기독자간의 대화’)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회원교단들은 조국통일기독자회의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대화에 반대하면서도 이 대화 및 도잔소협의회의 영향으로 1980년대에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의 통일대화에 나섰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1988)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에서 비로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회원교단들은 7.4남북공동성명을 수용했다. 남북한 정부의 통일정책과 한국교회의...
[학술논문] 「로동청년」으로 본 북한의 종교변화와 청년세대의 동향
...외부에서 출간되었다. 본 논문은 북한 외부에서 출간된 북한의 종교변화와 흐름을 배경으로 하되, 북한 내부에서 청년들에게 제공되는 출판물의 종교 관련 기사의 성격을 분석한다. 북한청년을 대상으로 매일 45만 부가출간되는 3대 중앙지 「로동청년」의 종교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지면 수와 분량에 있어 보도가 집중된 세 축을 발견하였다. 첫째, 북과 해외동포 기독자간의 대화와 관련된 기사, 둘째, 세계교회협의회의 주도로 개최된 남북기독교인의 만남과 관련된 기사, 셋째,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을 전후로 북한을 방문한 기독교인사들과 관련된 기사이다. 수 년간 게재된 이들 기사들의 공통점은 평화통일과 민족 대단결이라는 거시적인 민족과제에 집중하고 주체사상과 기독교가 생명존중, 섬김, 인류애의 가치를 공유한다는 이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