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저항의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다.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는 무기로 여겨졌던 것이다. 하지만 이는 근대적 사상이 아니라 외세에 대한 적개심과 원한에서 비롯된 퇴행적 성격이 강했다. 1919년 3.1운동 직후, 조선과 만주, 중국에는 무려 아홉 개의 공산주의 단체가 생겨났고, 지식인들은 공산주의를 이상향으로 바라보았다. 상해파, 이르쿠츠파, 고려공산당, 화요회, 북성회 같은 조직들이 속속 결성되며 사회 전반으로 번져갔다.
그러던 중, 전 세계의 판도를 바꾼 회담이 열렸다. 1945년 2월, 크림반도의 얄타에서 루스벨트, 처칠, 스탈린이 모여 전후 질서를 협의했다. 독일 처리 문제와 유엔 창설, 그리고 태평양 전쟁의 종결을 위한 소련의 참전 조건이 논의되었다. 하지만 한반도 문제는 단 30분...
[사회/문화]
...민중항쟁은 사회주의 운동가들이 주도적으로 만든 활동임에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일들이다.
대중조직과 전위조직을 망라한 다양한 조직과 단체의 활동상도 서술되어 있다. 한인들이 최초로 만든 사회주의 정당인 한인사회당과 볼셰비키 한인 2세 중심의 전로한인공산당, 오랜 기간 대립하게 되는 고려공산당 이르쿠츠크파와 고려공산당 상해파, 일본에서 활동하던 북성회와 이들이 국내로 들어와 만든 북풍회, 국내에서 활동을 해오던 서울청년회 등 조선공산당의 주요 그룹은 물론, 조선노동공제회, 조선노농총동맹,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신사상연구회 등의 활동도 소개했다.
책에서는 비교적 잘 알려진 이동휘나 조봉암, 이재유, 김삼룡, 이현상의 경성트로이카 이외에도 뜨겁게 살다 간 수많은 운동가들의 생애와 만날 수 있다...
[학술논문] ‘平壤箕城圖’를 통해 본 平壤城의 構造와 現況
...평양이라는 주변 경관과 기록 혹은 기념을 목적으로 한 회화적인 요소가 가미되었다. 본고에서는 ‘平壤箕城圖’에 투영된 조선시대 후기 평양의 실제 모습을 통해 부성(내성), 중성, 외성, 그리고 북성으로 구분하여 현황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와 북한의 고고학 자료를 비교한 결과, 외성 성벽의 구조에 대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북한 측에서는 평양성은 모두 석축으로 되었다고 하나, 문헌과 지도에서는 토성으로 축조된 것으로 기록된 사실과 대비된다. 또한 북성의 우마성은 고려 대몽항쟁기의 甬道가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성의 방어기능을 높이기 위한 옹성 포대의 성곽으로 변화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하였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평양성의 현황과 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서경성...
[학술논문] 平壤城 發掘의 成果와 課題
427년 평양으로 천도한 고구려는 양원왕 8년(552년)에 장안성을 축조하기 시작하여 평원왕 28년(586년)에 완공하여 장안성으로 도성을 옮기게 된다. 장안성은 일반적으로 평양성을 불리며 조선시대까지 그 형태를 대체로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급격히 훼손되었고, 이후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모란봉 일대의 북성과 내성 및 중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본래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와 북한 정권 수립 이후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평양성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가 일부 이루어졌으나 조사지점이 극히 일부 지점에 국한되어 있어서 연구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실시된 평양성에 대한 발굴조사의 내용과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의 과제를 제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