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기 북조선 시문학사의 재구성에 대한 연구
이 글은 1940~1950년대 북조선에서 호명되었던 ‘해방기 대표시’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했다. 북조선에서 출판된 1940~1950년대 저작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었던 시는 정문향의 「푸른 들로」(1946)와 조기천의 「백두산」(1947)이었다. 조기천의 서사시 「백두산」은 1947년에 『로동신문』에 연재된 후, 지속적으로 개작과 재개작의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 ‘해방 후 수령형상문학의 새로운 단계를 열어놓은 의의 있는 작품’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정문향의 서정시 「푸른 들로」도 여러 번 개작되었는데, 현재 김일성을 정점으로 한 북조선 중심의 역사로 재해석되고 있다. 또한 북조선 문예학자들이 공동집필한 최초의 조선문학사에 해당하는 1950년대 『조선 문학 통사(하)』(1959)에서도...
[학위논문] 해방기 북한 시문학 연구 : 1945~1950년을 대상으로
...직후부터 1950년 전쟁 전까지 북한 시문학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사회주의 채택과 남한 시문학에 대한 대타적 위상 정립기에 북한의 시문학론은 당의 건설이라는 정치적 과제와 더불어 기존 서울 중심의 문학론으로부터 탈피하여 독자적인 문단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해방 초기 북한에서 사회주의적 이념을 지향했던 시인들은 당대 북한 사회를 그들이 염원했던 유토피아로 인식했다. 그러한 점에서 소위 민주개혁으로 이어지던 당대 사회는 시인들에게 텍스트 창작의 기본적 모티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1946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결성을 계기로 북한문학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게 된다. 당시 북한문학이 추구한 당성과 인민성·계급성은 결국 <북조선 로동당>의 노선과 정책을 얼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