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를 나눈 형제, 이웃보다 못한 친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과 결정요인, 2007-2014
본 연구는 분단 70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이 어느 정도이며, 이러한 사회적 거리감에 개인이 갖고 있는 어떤 특징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2007년부터 2014년까지 통일의식조사를 활용한 분석 결과, 남한주민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별로 꺼리지 않음’과 ‘반반/그저 그렇다’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보다 개인적 책임에 부담이 적은 관계 맺기를 더 선호한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주민의 사회적 거리감은 통일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북한정권을 대화상대로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북한(주민)과의 경험이 많은 사람일수록, 수입이 많은 사람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반면...
[학술논문] 탈북 청소년의 정신병리와 자살과의 관련성
...재학중인 탈북 청소년 1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글판 역한연구센터 우울척도, 한글판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한글판 Rosenberg Self-Esteem Scale와 함께 자살 사고, 자살 계획, 자살 시도에 대한 유무룰 조사하였다.
결 과: 자살 사고를 경험한 탈북청소년은 21명으로 전체의 20.19% 이었으며, 우울 증상(Z=-4.050, p<0.001), 불안증상(Z=-2.076, p<0.05), 자존감(Z=-2.328, p<0.05)은 자살 사고의 유무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우울 증상(p<0.05)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자살 사고를 예측하였다.
...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문화충돌과 직업적응과의 관계 분석
...문화충돌을 더 많이 경험한다. 수입이 낮은 경우 직업문화충돌이 낮게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은 자율성, 문화학습·통합이 높아지면 직업적응 전체도 높아지고 반면, 배타성이 높아져서 직업적응의 양면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연령과 직업적응, 남한학력과 직업적응은 문화학습·통합에 의해 부분 매개, 북한학력과 직업적응은 문화학습·통합에 의해 완전 매개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와 논의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은 북한과 남한에서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이 타율성에서 자율성 전환으로 인한 직업선택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에서의 직업시장 진입 시 북한에서 축적된 진로자본의...
[학술논문] 초등학생들의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둔다. 도덕적 공동체 의식을 체계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초등학생들이 자신을 ‘인류’라는 사회적 범주로 정의하는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다양성 수용의 결과로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 ‘모든 인류 성원과의 동일시’(IWAH)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상위의 사회적 범주에 토대를 둔 재범주화, 종국적으로는 ‘인류’라는 최상위 사회적 범주로 자신을 정의하는 인류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도덕적 공동체 의식의 ‘다양성...
[학술논문] 북한주민의 친족과 민족 유대: 중국 조선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북한주민의 이동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친족과 민족 유대라는 측면에서 분석한다. 중국의 개혁개방과 북한의 경제난을 기점으로, 문화대혁명 시기 단절되었던 북·중 간의 친족 연결은 다시 재개되었고 양편의 이동도 늘어났다. 본 연구는 중국에 친척이 있는 북한주민이 생존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친족/민족 유대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되고, 어떠한 방식으로 수행되는지를 살펴본다. 중국연고 북한주민은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에 따라 친족과 민족 유대를 경제적 이해를 중심으로 생존을 위한 가치를 생산해내는 현장으로 만들어 갔다. 하지만 중국 체류 기간 북한주민은 민족 커뮤니티에서 어긋남을 경험하면서 중국 친척, 조선족 사회와 거리두기를 통해 관계성과 민족 경계를 재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중국연고 북한주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