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가요의 모범이 된 ‘사향가’ 연구: 혁명가요와 타 장르로 확산된 획일화
Music in North Korea is just another mean to support their ideology. Kim Il-Sung said that music needs to serve politics, and that the principal role of music in its art form is to create songs that empathize with the republican’s emotions. Such remarks by Kim support the prominent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politics, and had him be called as a musical politician or a political musician. The
[학위논문]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 각 장르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장르류의 하위 범주인 세부장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북한가요 분석에 적용할 세부장르들을 설정하였다.
북한가요의 시대별 특징에서는 해방을 기준으로 해방 이전의 북한가요와 해방 이후부터 1949년까지의 북한가요로 양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이후의 시기는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 이후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써 각 해당 시기별 북한가요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범위인 해방 이전부터 2011년까지의 4,219곡에 대해 서정・서사・교술・희곡의 4개의 장르류로 분류하고 그 각각을 세부장르로 분류하였으며, 개별 곡의...
[학위논문] 한국전쟁 시기의 북한 전시가요 연구
...외형적·구조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시기별로 의미가 있는 곡을 선정하여 악곡 분석하였다. 셋째 각각의 곡들에서 나타난 음악적 특징들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위의 음악분석 내용을 종합해 보면 음악은 한결같이 가사전달을 위한 보조적 역할에 치중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북한 정권 수립기 인민가요는 일제 치하의 음악 어법과 새로운 소련의 창작 방식을 혼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 한국전쟁 시기에는 소련 번안전시가요가 북한 전시가요로 적극적으로 권장·이용되면서 북한가요에 소련의 음악 어법과 창작 방식이 완전하게 이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전쟁 시기의 북한 전시가요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목적이었던 북한 정권 초기 음악을 통한 프로파간다 정책과 현 북한 인민음악의 시원을 찾을 수 있었다.
[학위논문] 피아노 협주곡 <조선은 하나다>와 <백두산의 눈보라> 분석을 통한 북한의 '우리식 고전음악' 연구
북한에서는 가요나 민요를 북한 주민의 정서와 미감에 맞게 서양음악 양식과 악기로 편곡하여 혁명적 사상 내용을 전달하는 음악을 ‘우리식 고전음악’이라고 부른다. ‘우리식 고전음악’은 김일성이 정립한 주체문예이론과 김정일이 체계화한 음악예술론에 철저하게 입각하여 창작되므로 사상성과 예술성, 인민성과 민족성을 고유의 특성으로 하고 있으며, ‘우리식 고전음악’의 모든 이론은 이 특성을 기준으로 만들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남한의 음악과 전혀 다른 목적과 방식으로 창작되는 북한 음악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필자는 북한의 대표적인 피아노 협주곡 조선은 하나다>와 백두산의 눈보라>의 작품분석을 통해 ‘우리식...
[학술논문] 북한 음악계의 일제 잔재 청산
...집중하면서 일제 잔재 청산 의지를 굳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음악의 급격한 변화 양상을 인정하면서 민요와 민족음악을 교조적으로 강조하지 않았다. 그리고 수집된 민요중 도선법 악곡에 대한 해석은 20세기 이후 변화상을 수용하면서 이루어졌다. 1960년대는 김일성의 수령형상화 작업이 강화되면서 일본 군가나 창가조로 만들어진 독립군 노래들이 혁명가요로 부각되었고 북한 가요의 모범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 결과 요나누끼장음계와 같은 음계를 갖는 도선법 민요풍노래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체제 성립 초기부터 반일의지를 분명하게 드러냈던 북한에서 창작된 민요풍 노래는 일본식 창가조음계, 즉 요나누끼음계와 같은 도선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음악교과사에 수록된 노래의 가사에는 일제에 반대하는 내용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