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시대를 대비한 고전문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me of the right future directions for classical literature in preparation for national reunification, as it's desperately required for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o be ready for national reunification in this field. To find the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in classical literature, it seems necessary to look at mutu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학술논문] 이용악의 「평남관개시초」 연구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면서 1968년 9월 공화국창건 20주년 훈장을 수훈하였으며 또 작고한 후인 2003년 9월 조국 통일 위업에 바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아 김정일에 의해 조국통일상을 수여하는 등 북을 택한 남로당계 문인들 가운데 드물게 북한 문단 중심에서 꾸준히 활동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쟁이후 북한 문단에서 이용악의 문학적 위치를 확고히 하게 한 「평남관개시초」의 특성과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기초 건설기’의 북한 문예이론이 이용악 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이용악의 시세계의 특징 및 방향성을 살폈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남로당계 숙청과정에서 드물게 살아남아 북의 문단 중심에 자리 잡고 지속적으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었던 요인을 파악하였다.
[학위논문] 남북한 통일 과정에서 필요한 디자인정책 연구
...선행연구들의 동향과 주요 쟁점과 남북관계의 관련성은 살펴보았다. 해방이후 남한에서 발행된 북한미술 관련 단행본, 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논문들을 조사한 결과 2014년 상반기까지 국내 총 170여개의 관련 연구 자료들이 수집되었다. 이 선행연구들의 주제어를 종합분석하면, 북한미술에 대한 개관(槪觀)을 설명한 것이 전체 25%로 주를 이룬다. 또한 북한의 문예이론 및 미술이론(17.6%), 미술교과서 및 미술교육(10%), 예술가 및 단체(9.4%), 미술역사(7.7%), 미술작품(7%), 문예정책(5.3%), 전통미술 및 문화재(5.3%), 기타(12.7%) 순으로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측의 북한미술 연구는 해방이후 60년대까지 북한예술의 동향과 작가들에 관해 연구하였고, 70년대는 북한미술의...
[학술논문] 『갑오농민전쟁』의 구성분석 - 모더니즘적 기법을 중심으로
...작가로서의 경로와 함께 우리 문학사의 변모를 밝혀줄 소중한 단초를 제공한다. 본고는 인물과 주제 면에서 판이한 월북 이전과 이후의 연계성을 찾을 수 있는 방편으로써의 서술 기법이라 판단하여 『갑오농민전쟁』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갑오농민전쟁』의 주제는 반외세, 반계급, 반봉건의 민족해방의 논리 등 북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벗어나지 않으나 장의 분절, 공간의 이동, 서술자와 초점화자의 구분 등 다양한 언술주체들의 활용, 등을 활용한 기법이 소설의 언어를 이중적으로 만들어 소설 내적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체 완결적이지 않은, 열려있는 언어는 박태원의 언어의식이 북한 문예이론에 함몰되지 않았으며 모더니스트 박태원의 기법실험이 여전히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학술논문] 21C 북한 경희극의 무대 연출과 연기 – [산울림]과 [북부전역]을 중심으로 -
...공연영상분석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는 북한의 시기별 문예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는 동시대 북한연극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조건이었다. 북한의 문예이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주체사실주의’ 그리고 ‘주체사실주의’의 구체적 지침으로서 ‘종자론’이 있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북한 초기 이론으로 계급과 인민(민중) 민주주의에 기반한 사회변혁이론이라면 ‘주체사실주의’는 주체사상의 예술적 실현을 위한 것으로 당과 수령중심, 민족주의가 결합된 북한식 문예이론이다. ‘주체사실주의’는 40년 동안 북한연극 창작의 사상적 기준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또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