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교육 제재로서 북한 과학환상소설 역할 연구 -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수록본을 중심으로 -
본고는 북한 문예지에 수록된 「과학환상소설」을 분석함으로서 과학환상소설이 가지고 있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 교육의 핵심은 사회주의 체제 유지 및 공산주의 인간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당이 발간하는 문예지를 이용한다. 북한의 대표적인 문예지는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이며 이들 문예지에 수록된 작품은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교육의 제재로 사용된다. 문예지에 수록된 다양한 장르 중 본고는 『과학환상소설』에 주목했다. 최근 북한은 당 정책을 통해 『과학환상소설』 의 창작을 독려하고 『과학환상소설』의 문예지 수록 비중을 늘리고 있는데 『과학환상소설』을 둘러싼 이러한 경향의 이유 및 과학환상소설이 가지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살피기 위해 북한의 3대 문예지인
[학술논문]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에 관한 연구 -『청년문학』을 중심으로 -
이 글은 북한 청소년 독자를 대상으로 발간되는 북한 문예지 『청년문학』을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교육목표는 김일성의 사회주의 교육 테제에 따라 체제 유지 및 선전에 필요한 공산주의 인간형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온 것이 바로 문학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학교교육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교육 차원에서도 문학의 힘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대표적인 교육매체 중 하나가 문학잡지이다. 북한의 잡지는 모두 당에서 출간되는데, 문학교육과 관련된 잡지로는 『조선문학』, 『아동문학』, 『청년문학』 등이 있다. 이 중 『청년문학』은 주 독자층을 14∼30세의 청년으로 한정하며 전문 작가만이...
[학술논문] 북한문학 연구와 중국 번인본
...냈다. 셋째, 문학 번인본이 지닌 새 담론 개발의 가능성을 북한 출판의 ‘한글본’ 번인본과 소련문학에 대한 북한 ‘번역본’의 번인본으로 나누어 찾아보고자 했다. 그리하여 한글본의 번인본 본보기로서는 1950년대 북한의 친선문학이라는 새 담론 계발에 중심 원전이 될 종합시집 『전우의 노래』․『쓰딸린의 깃발』, 북한문학 교육의 수준과 속살을 엿볼 수 있는 석인해․김용은의 『문학 교수법』을 살폈다. 소련문학에 대한 북한 번역본 번인본의 본보기로 1950년대 북한의 초급․고급중학교 정전 작가로 다루어진 고리끼․마야꼽스끼․오쓰뜨롭쓰끼․숄로호브․알렉세이 똘쓰또이․파제예브의 것을 살폈다. 이어서 가장 방대한 러시아문학사인 『로씨야 문학사』를 소개해 600권을 넘는 1950년대 북한의...
[학술논문] 북한 역사교육과 문학교육의 내적 상관성
이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북한의 역사교육에관한 역사적 이해를 돕고 북한 역사교육의 현황을 고찰하면서 그 내적인 현상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다. 특히 처음으로 제기하는 교과목의 상호관련성 문제에서, 본 연구자가 북한 역사교육에서 주목하는 남북한의 이질적인 차이점은 ‘서술방식’과 ‘근현대사 서술’ 관련 문제이다. 이것은 북한 역사교육의 한특징, 즉 문학교육의 영향과 대단히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그간 한국, 즉남한의 역사교육학계에서는 문학교육분야에 위치한 혁명역사의 북한 근현대사를이해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사실 북한 역사교과 내에서의 지형은 역사교육학과문학교육학이 반씩 나누어 점유하고 있었다. 역사교육학계가 점유하고 있는 분야는
[학위논문] 북한 문학 교육 연구 : 『국어문학』과 『문학』 교과서 비교 고찰
...중학교 4~6학년 『문학』 교과서를 비교하여, 북한의 문학 교과서 개편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북한에서 해방이후 국어 교육이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고, 또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사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북한 문학 교육의 이론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주체문예이론과 북한 문학 교육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북한의 『국어문학』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를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 단원 구성 체제, 문학 이론 단원, 문학사 단원 및 수록 작품의 유형 측면에서 비교 ․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북한 사회의 변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