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재해인가 정책실패인가?:북한의 문화생태 현실과 구조
이 논문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심각한 문제로 부상한 북한의 문화생태적 상황을 살펴보고 그 원인과 구조를 분석하며 전망적 대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대규모 기아사망과 그 이후 반복되는 굶주림의 실태, 그리고 생태환경 파괴 등 북한의 전반적인 문화생태 현실은 매우 심각하다. 이처럼 열악한 문화생태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단순한 자연재해나 농업정책의 실패 때문만이 아니라, 정책과 제도, 문화의 요인들이 생태파괴와 기후변화 및 재난으로 확대되는 보다 광범위한 문화생태 싸이클에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 문화생태의 문제는 정책과 제도, 문화와 관행, 생태환경과 기후변화의 복합구조 속에서 악순환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이러한 문화생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학술논문]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소설에 나타난 생태 환경 담론의 특성 연구
...행군’을 겪은 이후 자연 생태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북한의 생태환경 변화는 한반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생태계의 일부이다. 그렇기에, 인간에 의한 자연의 변화가 다시 자연에 의한 인간 삶의 변화로 이어지는 순환적 흐름이 존재한다. 북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 북한의 중요 당정책은 산림복구와 국토 보호를 중시했다. 생태환경 보호 정책의 실제적 효과를 위해 북한 당국은 계몽주의적 담론을 강화했다. 이 글은 한은희의 <새들이 날아들 때>와 황철현의 <푸른 숲>, 김창림의 <생활의 선율>, 김향순의 <두번째 작별> 등을 분석해 북한 생태담론 작동 양상을 규명할 분석할 목적으로 쓰여졌다. 북한의 생태 환경담론은 주체사상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북한은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에...
[학위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생태환경 국가전략 연구
.
[학술논문]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남북환경협력 방향
최근 북한은 생태환경분야 국제협력을 강조하면서 습지생태계 보전을 위한 환경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국제 환경레짐 안에서 환경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 필요로 하는 분야의 협력을 추진하여 북한 당국이 수용할 수 있도록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통한 교류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북한의 대내외 활동과 협력 여건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 가능한 환경협력 방향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남북환경협력 방향은 한반도 생태공동체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술논문] 김정은 집권 이후 '생태환경정치'의 출현
본 논문에서는 김정은 시대에 북한에서 생태환경을 통치의 대상으로 전면화하고 통치에 활용하는 ‘생태환경정치’가 출현했다고 보고 이를 논의한다. 산림복구전투로 시작된 생태환경정치는 이전 시대와 차별화되는 ‘황금산’ 등의 표상을 통해 사회주의강국의 비전을 제시한다. 주체사상의 자연개조사상이 일정한 한계와 모순을 내포하고 있어 생태환경정치의 이데올로기로 김정일애국주의가 작동한다. 김정은 시대 생태환경정치는 생산력을 우선에 뒀던 과거와 달리;생태환경의 가치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지만 양가적인 측면을 띠고 있다. 생태환경정치의 주요 특징으로는 첫째;생태환경을 통치의 대상으로 전면화한다는 점;둘째;생태환경의 상징화가 이뤄지고 영향이 확산된다는 점;셋째;생태환경 인식을 애국심과 등치시킨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