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측 학자의 「농악」 인식과 논의 경과, 그리고 의의 분석 -「農樂에 關하여」와 「농악놀이」 두 가지 예증을 구실삼아-
이 글은 북한 쪽에서 진행된 농악에 대한 글 두 편을 대상으로 하여 농악에 대한 남북한 공통의 인식 과정을 점검한 것이다. 하나는 1950년에 작성된 것으로 『문화유물』 제2호에 실린 글로 「조선농악에 관하여」이고, 다른 하나는 1964년에 간행된 『조선의 민속놀이』에 실린 「농악놀이」이다. 두 편의 글은 온당하게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두 글 사이에 일정한 관련이 있음을 염두에 둘 때에 유기적인 전개를 핵심으로 한다. 두 편의 글은 농악이 긴요한 음악이고, 우리 민족의 중요한 연희의 산물임을 알게 하는 글이다. 한 편의 글은 집단적인 담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농악의 개념이나 역사적 경과, 농악의 지역적 분포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으며, 농악이 장차 어떠한 인민악의 전형이 되어야 하는지 진중하게 논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