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북한일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북한의 일본인기술자 정책(1945~1950)
해방직후 북한의 재북일본인 정책과 조선인들의 일본인관은 한국현대사의 전개와 관련해 매우 중요한 테마이다. 일제 식민권력이 붕괴되면서 조선인들이 제 기관들을 접수하고 일본인 고위관리들을 체포·처벌하는 과정은 조선총독부 권력으로부터 조선인 자치기구인 인민위원회로 이어지는 권력의 이양과정이 어떤 양상을 띠었는가를 선명히 드러낼 수 있다. 물론 그 과정이 상당히 단절적이었음은 분명하지만, 국가를 운영해본 경험이 없었던 북한지도부가 일제의 기관과 전문 인력을 그대로 물려받았다는 점은 어느 면에서 양자가 연속성을 띠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일본인들을 향해 분출된 조선인들의 반일감정을 분석하고 있는 이 연구는 일제시기에 형성된 민족주의가 해방을 계기로 표면화되는 과정이 현대 남북한 각각의 국민과 인민의 형성에...
[학술논문] 통일 이후 동독 경제재건 위한 금융개혁 및 지원과 북한 지역 금융에 주는 시사점
...높은 성장세를 보이면서 서독 지역 경제수준까지 근접해 갔다. 동독지역 금융개혁의 기본 방향은 시장 경제적 금융제도를 구축하고 통화신용정책을 실시했으며, 동독지역에 맞는 새로운 지급결제제도를 구축한 것이다. 동독지역 금융기관을 새로운 상업은행으로 개편하고, 동독지역 금융시장을 개방하여 서독 및 외국은행의 진출을 유도하였다. 통일 직후 동독지역의 경제 및 산업 재건을 위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였다. 유럽부흥프로그램(ERP)특별기금 융자를 비롯한 자금 융자와 신용보증지원 등을 했다. 동독 지역 경제재건을 위해 통일 직후 6년간 총 2,630억 DM이 지원되었다. 통일에 따른 동독 지역 금융지원에서 독일재건은행(KfW)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통일 이후 7년간(1990~96년) 총 141.7조원의 자금을...
[학술논문] 전쟁시기 북한철도에 대한 연구: 북중관계를 중심으로
일제의 한반도 철도 건설은 전쟁 수행이 주요 목적이었다. 해방 이후에도 마찬가지로;북한정권과 외부세계의 연결에 있어서;철도는 생명선 역할을 하였다. 첫째;소련군의 참전과 해방과정에서 북부지역에서 철도와 산업설비가대규모로 파괴되었다. 해방 이후 철도가 마비되어 사회혼란이 가중되었고;북부에서 철도가 복구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산업재건이 시작되었다. 둘째;국공내전 시기 북한은 철도망을 이용하여 중국공산당 군대에 원조를 제공하고 동북 해방을 도왔다. 셋째;한국전쟁 시기 북한철도망은 미군의 주요 전략폭격대상이 되었고;김일성은 철도에 대한 군사관제를 실시했다. 북중 양군은 공동지휘체제를 구성했지만;이를 둘러싸고 대립하였다. 넷째;전후 북한의 철도 복구는 일제 철도의 H 구조와 전시 산업구상과 유사하게 복구되었다. 철도복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