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의 매개효과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가 북한이탈주민 접촉 및 사회인식과 정책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대상은 남학생 185명, 여학생 190명으로 총 375명의 학생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이용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은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여 기회평등․사회보장정책 인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등주의 인식, 통일인식, 다문화주의 인식은 기회평등․사회보장정책 인식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북한이탈주민 수용태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 또한...
[학술논문] 한국 사회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과 관계별 거리감 인식 변화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가 관계의 맥락에 따라 상이하게 작동하며, 이러한 차이가 일반적 인식과 정책 지지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거리감을 단일 지표로 통합하여 분석해 왔으나, 본 연구는 ‘동네이웃’과 ‘배우자’와 같은 사회적 관계의 친밀도 차이에 따라 거리감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영향력 또한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동네이웃으로는 꺼려지지 않는다’고 응답한 표본 내에서 배우자로는 ‘꺼려진다’고 응답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탈북민 전반에 대한 태도, 탈북민에 대한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태도, 북한인권에 대한...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 사기피해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자본주의 이해도가 낮으며 남한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북한문화 수용태도가 낮을 사기피해 발생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 사회적 활동과 북한문화 유지태도는 가설과는 반대의 영향력을 가졌다. 가구소득의 경우에는 북한이탈주민이 한국 사회에서 직면하게 되는 경제적 환경 때문으로 대안적 설명이 가능하다. 또 사회적 활동은 보호요인으로 작용한 결과이고 북한문화 유지태도는 연령효과에 따른 결과로 각각 해석할 수 있다.북한이탈주민의 사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차원과 더불어 사후적인 관리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네 가지 차원에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법 신뢰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하나원에서...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 상징정치이론과 경제이익이론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특히, 선행연구들이 특정 시점에 국한된 분석을 실시하거나, 설사 시계열적 분석을 실시하더라도 단순히 그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만을 분석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의 시간적 범주에서 통시적인 조망을 시도하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근감 및 수용태도 양자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를 미시적 차원과 거시적 차원에서 동시에 검토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인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는 상징정치이론에 의해 설명되는 바가 컸다. 이 변수들은 10년의 조사기간 동안 비교적 일관된 영향력을 행사했다. 둘째, 상징정치이론보다 설명력이 떨어지지만 경제이익이론의 일부 변수들 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