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의 소진 실태와 요인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의 소진 실태와 교사가 지각하는 소진 요인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11개 북한이탈청소년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71명을 대상으로 Maslach 소진검사지(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와 소진 요인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선,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의 소진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체 교사의 약 20%가 소진위험상태였으며, 교사들의 주된 소진 양상은 신체적 소진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교사들이 특성화학교 교사들에 비해 개인적 성취감 감소를 더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북한이탈청소년학교 교사들은 교사 소진을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과중한 업무를 꼽았으며, 대안학교 교사들의 경우에는 불안정한 신분,...
[학술논문] 북한이탈 청소년의 긍정적 학교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막막함에서 자기긍정으로 변화하기
...이를 위해 북한에서 태어나 부모와 함께 북한을 탈출하였고, 현재 중고등학교 재학 중이며 한국사회에 입국한지 2년 이상이 되었고 학업 및 다양한 학교활동에의 능동적 참여, 교사 및 친구들과의 긍정적 대인관계, 학교에서 질서와 규칙 준수, 학교 애착의 노력을 기울였다고 진술하는 북한이탈 청소년 6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하였다. 근거이론 방법의 절차를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 청소년의 긍정적 학교적응 과정에 대해 총 98개의 개념이 나타났고, 이를 18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모든 경험은 ‘학교에서의 나 수용하기’라는 현상을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막막한 새로운 발걸음’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