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구이주민들: 영락교회에서 보편적 공동체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성의 수용
...영락장로교회에서 보편 공동체를 건설하려는 월남 기독교인과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의 시도를 연구한다. 두 공동체는 같은 북한지역에서 왔으나, 월남 기독교인들은 한국전쟁의 휴전 전까지 남한으로 월남을 했고,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은 1998년부터 한국 입국의 숫자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탈북 과정에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도 있고 입국해서 그리스도인들이 된 사람들도 있다. 북한이탈 주민들이 1998년부터 한국교회 안에서 신앙생활을 하는 숫자가 증가하면서 한국교회 그리스도인들과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두 공동체들이 남한으로 이주한 시기의 차이는 반세기 이상이 된다. 월남 기독교인들은 월남 전부터 지금까지 깊게 뿌리내린 반공이념에의해 사회화되어 왔다. 반대로, 최근 북한이탈 기독교인들은 북한을 떠나기 전에 주체사상에 의해서...
[학술논문] 다문화 사회의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 사회는 새로이 유입된 결혼이민자, 유학생, 이주 노동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구성원들로 인해 다방면에서 사회통합과 사회 정의를 위한 다문화 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이 다문화라는 새로운 현실은 기존의 통일 담론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독교인들의 통일의식이 갈수록 약화되는 즈음에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에서 사회통합을 이루는 통일 준비의 과정으로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안을 제시해보려 한다. 2장에서는 다문화 사회와 통일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제시했다. 3장은 다문화 사회의 통일교육 담론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제시했다. 4장에서 기독교 통일교육의 현황과 분석을 통해 현 주소를 진단했다. 5장은 기독교 통일교육의 대안을 제시했다...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들의 주체사상 극복 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 기독교인들의 체험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주체사상에의 매몰과 극복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주체사상 무비판적인 수용 과정과 내용 그리고 주체사상의 해체, 성찰적 회의와 재구성의 내용과 함께 여기에 영향을 미친 맥락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주체사상 해체에 대한 이론적 지평을 확장하는 동시에 북한이탈주민들의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주민으로서 정체성을 재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사회통합 정책과 실천 차원에서의 함의와 함께 구체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는 북한이탈주민 20명이 참여했다. 연구자는 결정적 사례 표집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했다.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심층 면담은 린드로프(Lindlof)와 테일러(Taylor)가...
[학술논문] 한국 교회의 북한이탈주민 인식 전환에 대한 모색- ‘공감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2019년 상반기 한국전쟁 이후 한국으로 온 북한이탈주민 North Korean Defectors은 총 33,022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한국 사회는 그동안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다양한 정책들을 시행하고 범국가적으로 ‘통일의 준비’ 라는 명분으로 ‘적응과 지원제도 개선’ 등을 중심으로 범사회적으로 각계에서 객관적인 자료와 통계를 바탕으로 폭넓게 연구되고 있었다. 기독교계에서도 다양한 관심으로 윤리적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정작 탈북민들이 남한 사람들에게 느끼는 온도는 그다지 따뜻하지 않다. 실제적으로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시행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한국 사회에서 그들을 경계인처럼 여기고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학술논문] 탈북 기독교인들의 신앙 여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탈북 1세대들의 신앙 여정의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년 이상 기독교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탈북 기독교인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하위범주 96개, 상위범주 20개를 파악하였고,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분석을 시도했다. 중심 현상은 기독교를 접한 이후 거부할 수 없는 ‘존재적 만남’을 통해 인격적으로 하나님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하나님과 만남 이후 신앙을 발전시켜 나가며 체험적 사귐과 관계의 성숙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탈북민이며 신앙인으로서 자신의 사명을 받아들이는 모습도 파악하였다. 이러한 탈북민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