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김주애 존재 처음알린 로드먼 "2013년 방북 때 남자아이 못봤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후계자로 거론되는 딸 김주애의 존재를 국제사회에 처음 알린 미국프로농구(NBA) 선수 출신 데니스 로드먼이 북한에서 김정은과 그의 가족들을 만난 2013년 당시 남자아이는 보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그동안 김 위원장의 첫째 아이가 아들이라는 추정이 있었지만 김주애가 첫째 아이일 수도 있다는 분석이 미국 비정부기구(NGO)인 북한인권위원회(HRNK)에서 나왔다.
[뉴스] 4년 만에 다시 나온 북한인권백서… 격리시설 책임자 총살 등 北 코로나 실태 담아
북한의 인권 개선과 인권 침해 청산을 목표로 삼는 민간 단체(NGO) 북한인권정보센터(NKDB)가 2020년 이후 4년 만에 북한인권백서를 출간했다. NKDB는 2007년부터 통일부와는 별개로 북한인권백서를 발간해왔다. 이들은 10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발간 세미나를 열었다.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비정부기구(NGO)의 역할: 대북 지원 NGO와 북한 인권 NGO를 중심으로
...남한 내 대북지원 운동이 전국적인 운동으로 발전하였고, 이와 동시에 북한인권 비정부기구(NGO) 활동도 조직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이들 대북지원 NGO가 북한의 경제난 동안 얼마나 많은 재화를 제공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에 치중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NGO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재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1995년부터 2012년까지 대북지원 NGO와 북한인권 NGO의 활동이 정부 및 시민사회에 미친 다층면적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 통일 기반 조성에 있어 NGO의 발전적 역할을 고찰하는데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이들 NGO가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남북 관계의 완충망 역할(평화조성), 북한 인권에 대한 국내외 관심제고(민주주의 확산과 공고화), 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학술논문] 재일조선인 북송 이후의 문제와 한국의 역할 -북송사업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중심으로-
본 고는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실시되었던 재일조선인 북한송환사업에 의해 북한으로 이주한 후 수십 년간 북한에서 인권 탄압적 생활을 하다 탈북, 일본에 재정착한 피해자들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중심으로 위 북송사업 불법성의 근거를 확인하여 향후피해회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되었던 소송 경과를 신문 기사, 소송을 주도하였던 ‘NGO 모두 모이자’ 공식 홈페이지 및 관계자와의 인터뷰, 판결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북송사업 실시 경위 자체에 집중되어 있었던 기존 연구에서 나아가 북송 이후 북한에서의 삶을 재조명, 피해자들의 권리구제 가능성에 접근하였다. 북송사업은 일본과 북한 각 정부 및 적십자사, 한국, 소련, 미국, 조총련, 국제적십자위원회등...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일본생활 정착과정에 미친 정치적·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주민은 일본사회 정착에 있어서 본인의 희망과 지원하는 NGO단체의 판단 하에 인도적인 차원으로; 일본 후생노동성(厚生勞動省) 규칙에 따라 생활보호를 신청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보호를 받을 때까지 여러 애로사항에 처하게 된다. 일본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들은 그들을 도운 NGO단체가 활동하는 지역이나; 보증인들이 사는 지역도 일본 국내 여러 곳에 흩어져 있지만 일본 생활정착을 위해 유익한 정보를 들을 수 있는 대도시에 모여 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북한이탈주민들의 일본생활정착을 위해서 중요한 것은 일본어교육 및 직업훈련이다. 그러나 이들은 NGO나 개인에 내맡기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 북한이탈주민을 지원하는 NGO단체로서 ‛북한난민구조기금’;‘북한귀국자의...
[학술논문] 북한인권 인도네시아 캠페인:초국적 옹호네트워크와 선택적 인권외교 사이에서
...5년간 인도네시아에서 벌어진 북한인권 캠페인을 사례로 삼아 아시아 역내 국제인권압력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초국적 옹호네트워크(transnational advocacy network)를 통한 국제인권압력을 설명한 ‘부메랑 모델’은 엔지오 및 사회세력들이 인권압력을 만들어낸 후 국가와 국제기구를 추동하여 압력을 성사시킬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북한인권 국제 캠페인의 경우 국가가 시민사회와 함께 인권압력의 형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의 북한인권 캠페인은 아시아 지역 인권엔지오 네트워크를 통한 엔지오 간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기록되었으나;인터뷰에 따르면 국가와의 협력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도네시아 북한인권 캠페인은 북한이라는 특정 국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