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서로 오가고 협력하는 새 시대를 준비하고자 만들었습니다!
‘전국남북교류협력 지방정부협의회’(상임 공동대표, 광주광역시 남구청장 김병내)가 기획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바라는 전국 시군구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책 협의를 위하여 구성된 협의회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남과 북의 교류를 촉진하고, 이러한 상호 소통과 교류를 통해 민족 화해와 협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책 발간사 중 한 대목을 읽어봅니다. “그동안 남북이 만나는 자리에서 지방의 역할은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다가올 미래는 지방의 고유한 특성에 맞게 남북 도시 간
[지리/관광]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서로 오가고 협력하는 새 시대를 준비하고자 만들었습니다!
‘전국남북교류협력 지방정부협의회’(상임 공동대표, 광주광역시 남구청장 김병내)가 기획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과 한반도 평화 정착을 바라는 전국 시군구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책 협의를 위하여 구성된 협의회입니다.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남과 북의 교류를 촉진하고, 이러한 상호 소통과 교류를 통해 민족 화해와 협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책 발간사 중 한 대목을 읽어봅니다. “그동안 남북이 만나는 자리에서 지방의 역할은 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다가올 미래는 지방의 고유한 특성에 맞게 남북 도시 간
[지리/관광]
가장 가깝고도 먼 땅 북한을 알아야 하는 이유
북한과의 경계인 휴전선은 서울에서 50㎞도 떨어져 있지 않다. 게다가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는 수도권 바로 북쪽에 북한이 있다. 북한은 이처럼 필연적으로 주변의 어느 이웃보다 우리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되어 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우리 사회의 무관심과 냉소주의는 나날이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그동안 반복되어 온 북한의 도발 외에도 우리가 일상에서 보고 듣는 북한 뉴스에 그 원인이 있다. 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북한에 대한 뉴스는 북한 최고지도자의 근황과 같이 정치·경제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뉴스에는 그것이 우리와 시공간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빠져 있다. 즉 우리가 접하는 북한 정보에 지리적 맥락이
[경제/과학]
북한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임농복합경영 모델개발
우리나라에서 기수행된 임농복합경영 관련 연구는 북한 산림복구를 위한 적정기술 발굴 및 실행 모델정립, 임농복합경영중심의 북한 산림녹화계획 연구등이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 필요로 하는 임농복합경영 기술 및 전략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남북산림협력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임농복합경영의 유형별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협력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회/문화]
...분단된 지 내년이면 벌써 80년이다. 대륙국가인 대한민국이 38선에 가로막혀 일본 열도나 다름없는 태평양의 섬이 돼 버렸다. 남북의 미래를 이야기할 때, 너무 오랜 세월 떨어져 살아 이제는 서로 다가가기 힘들다는 말이 절망과 한탄처럼 들린다.
에디는 북한에서 태어나 청년기까지 사회주의 교육을 받고 자란 사람이다. 하지만 분단 세월과 교육도 에디의 몸속에 잠복해 온 개성상인 DNA가 용솟음치는 것을 막지 못했다. 서울 땅을 밟자, 평양 옥류관 서울분점 창업과 나우누리 등에 정보제공 사업가로 다시 태어났다. 또 호주 회계사로 거듭나 북한지하자원 투자전문가가 됐다. 저자는 남과 북이 새로운 미래를 꿈꾸고 나아갈 때 에디의 삶을 들여다보고, 함께 해법을 찾을 수 있길 간절한 마음의 발로가 책이 되었다.
[학술논문] 북한체제의 주변부로의 귀환 김정일 시대‘정치적 렌트수취국가’으로의 이행과‘과도기 사회’적 특성
북한체제는‘주변부’로 귀환하고 있다. 1990년대 경제난과 식량난이 심각해지면서 북한체제의변화가 시작된다. 현상적으로 북한체제의 변화는‘부분적’인 것이지만, 변화된 부분은‘전체’의성격을 변화시킬 만큼 중요한 것들이었다. 그 결과, 북한지배체제는 저발전 사회, 특히 외연적 렌트(external rent)에 의존하는 정치적 렌트수취국가(political rentier-state)로 이행하는 모습을보이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북한지배체제는 현존 사회주의의 구조적 특성과 정치적 렌트수취국가의 구조적 특성이 병존하는‘과도기 사회(transitional-society)’적 모습을 보이게 된다. 첫째,경제잉여의 유형과 성격이 달라진다.
[학술논문] 조선 후기 북한산성의 축성과 운영체계
...workforce was recruited from construction workers who were the technicians, citizens, and soldiers who belonged to each military office. The facilities inside the fortress were described in “Bukjanji 北漢誌 (Diary in Bukhan Mountain Fortress)” (1745) written by Seong Neung who was the head of the nation monks (Paldo- docheongseop). The fortress gates consisted of 14 in total – 5 grand gates...
[학술논문] 한미 민군작전 사례분석을 통한 북한지역 민군작전 수행에 관한 연구 : 민군작전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미국은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안정화작전의 중요성을 간과하여, 결국 두 전쟁 모두실패로 이어졌다. 북한 급변사태 시 한국군은 주민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해 한국군의 베트남전과 미군의 이라크전 민군작전 사례를 분석하여북한지역에서 효과적인 민군작전 수행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와 작전수행 측면에서 위협인식, 작전개념, 조직편성을 민군작전의 핵심요소로도출하여 이를 변수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민군작전의 성공을 위해서는 주민과 반군을 분리하고 충분한 병력을 투입하며, 대민지원·민사·군사작전을 통합적으로 수행해야 함을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동력, 화력, 방호력을 갖춘 제병협동부대의 편성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북한지역에서의 민군작전은
[학술논문] 북한지역 기반시설의 군사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도로, 철도, 전력을 중심으로)
The infrastructure of North Korea has serious problems such as stability, usability, and durability because thefacilities were built a long time ago. In recent years, the infrastructure improvement of North Korea has emergedas the important issue to preparing for reunification. However, there are no research institutions about the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as well as the experts for operating or
[학술논문] SC-PDSI를 이용한 북한지역 가뭄분석 및 가뭄심도-지속기간- 생기빈도 곡선의 유도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가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지점으로는 평양 등 27개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월 강수량 및 평균기온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뭄분석을 위한 가뭄지수로는 SC-PDSI를 이용하였으며, 27개 지점별로 1984∼2013년(30년)의 월 단위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과거 가뭄에 대해 검토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2000년대 초반과 중반에 심각한 가뭄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의 과거 가뭄사상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6개 지점(평양, 함흥, 청진, 원산, 해주, 신의주)을 대상으로 지속기간별 최대 가뭄심도 자료계열을 구성하였으며, 빈도분석을 통해 지점별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Severity-Duration-Frequ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