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체제의 주변부로의 귀환 김정일 시대‘정치적 렌트수취국가’으로의 이행과‘과도기 사회’적 특성
...귀환하고 있다. 1990년대 경제난과 식량난이 심각해지면서 북한체제의변화가 시작된다. 현상적으로 북한체제의 변화는‘부분적’인 것이지만, 변화된 부분은‘전체’의성격을 변화시킬 만큼 중요한 것들이었다. 그 결과, 북한지배체제는 저발전 사회, 특히 외연적 렌트(external rent)에 의존하는 정치적 렌트수취국가(political rentier-state)로 이행하는 모습을보이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북한지배체제는 현존 사회주의의 구조적 특성과 정치적 렌트수취국가의 구조적 특성이 병존하는‘과도기 사회(transitional-society)’적 모습을 보이게 된다. 첫째,경제잉여의 유형과 성격이 달라진다. 경제난과 식량난이 심각해지면서 국가의 자원동원...
[학술논문] 북한 ‘실화문학’의 민중성 연구 - ‘사실’과 ‘허구’ 사이의 해석적 진실을 중심으로
...민중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할 때, 북한 민중의 상태에 대한 적극적 해석이 가능해진다. 작가가 상상력을 동원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를 지향하면서도, 사실의 제한이 분명하기에 동시대 북한 민중의 삶에 대한 태도가 작품 속에 기입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실화문학은 지배체제와 길항하고 있는 민중 형상이 드러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실화문학에 대한 적극적 해석, 징후적 독해를 시도할 경우 북한 민중들의 비체제적 성격을 구체화할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성격이 강한 북한 소설도 해석의 ‘틈벌리기’는 가능하다. 이는 문학이 갖고 있는 보편성, 상상력의 자유와 형상의 구체성 때문이다. 실화문학은 북한의 지배체제와 길항하고 있는 민중의 형상을 담고 있는 주목할 만한 북한문학의 장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