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출판물의 형태서지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
본 연구의 목표는 북한 출판물의 형태서지학적 분석을 통하여 남북한 출판 교류와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출판물의 형태학적 분석 요인은 출판물의 외적 체제 요소와 맞물린다고 생각한다. 서적의 형태서지학적 요인이 서적의 가치를 결정하였다면, 출판물의 외적 체제 요소 역시 출판물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연구결과 북한 출판물의 질은 분단 이후 현재까지 발전보다는 오히려 퇴보를 하였다. 다양한 판형의 적용과 인쇄재료의 고급화 그리고 선진 편집기술과 제작기술을 통하여 양질의 도서를 만들어 공급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북한 출판물 특히, 북한 교과서의 질은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출판 매체의 중요성에 비추어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간 출판교류의 활성화는 필수적이다. 남북한간 출판교류를
[학술논문] 북한출판물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은 통일에 비하는 환경에서 북한출물에 한 수용자의 인식을 악하는데 있다. Q방법론에 따라 24개의 진술문으로 Q표본을 구성하고 20명의 P표본을 통해 북한 출물에 한 수용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의 유형을 발견하다. 제1유형은 ‘정치와 교육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이 당의 강력한 통제와 감독을 받으며, 북한의 사상과 교육 실태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2유형은 ‘북한 이해의 도구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 출물은 북한 반을 이해하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3유형은 ‘교류 와 력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을 남북한 교류의 활성화에 필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4유 형은 ‘서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