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공연사적 변모양상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역사는 한 세기를 넘어 다시 반세기가 지나가고 있다. 중국내의 소수민족으로 그리고 한반도의 남한과 북한과는 같은 한민족의 뿌리를 갖고 있지만 이와는 또 다른 문화적 특성을 만들어 가야 하는 중국의 조선민족 무용가들에게 지나온 세기의 무용역사는 새로운 무용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공연사적 변모양상에 대해 논하였다. 중국의 정치·사회·경제적 동향을 중심으로 중국 조선민족무용의 공연연보를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중국 근대사에서 중요한 사건들은 시기구분의 중요한 기준점이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문화대혁명, 개혁개방 정책은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중국을 대대적으로 변화시켰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학술논문] 최승희를 통해 본 남북 예술의 통합 지향성 고찰
...춤을 현대적으로 수용하여, 독창적인 무용을 창작하였고, 이를 통해 독립된 예술로서 신무용 개념을 정립한 인물이다. 최승희는 민족 무용에서 나아가 동양의 전통무용 형식과 가치를 접목한 창작 무용을 개발하였다. 최승희는 활동 범위를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일본, 중국, 소련, 미국, 유럽 공연을 통해, 세계적인 무용수로 이름을 날렸다. 최승희의 활동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인 상황과 월북이라는 정치적 논쟁 상황에서도 남북의 현대무용 뿌리가 되었다. 월북 이후 최승희는 발레 훈련 체계를 ‘조선 춤’에 접목하여, 조선민족무용기본체계를 완성하였다. 조선민족무용기본은 최승희가 30년 춤 경험을 바탕으로 기본 동작을 분류하고, 주요 작품의 기본 동작을 설명과 그림을 덧붙여 기록한 최초의...
[학술논문] 북한판 『민요삼천리 2』의 구성체계와 내용에 관한 고찰
...사설내용을 총 5장에 걸쳐서 분석하고 있다. 또한 저자후기와 특집편, 남․북한 민요 41곡을 소개한 부록악보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노랫가락, 창부타령의 유래, 판소리 본향, 옹헤야 등 사설의 유래에 관해 남한과의 견해차이가 있고, 특히 신민요에 대한 개념정의와 시초에 관한 견해차가 있어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특집부분에서 서도민요 명창 ,민족음악가와 공헌자 외 민족예술분야 인물 총 45명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본 저서가 남한에 소개되지 않은 인물들의 활동상황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부록악보에서 오선보로 제시하고 있는 총 41곡 중 14곡은 남한에서는 처음 접하는 민요곡들로 북한 민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학술논문] 최승희로 비롯된 북한의 민족무용
.
[학술논문] 남북한 학교 무용교육과정 비교 연구
..., 표현 활동에 역점을 두어 민속무용, 현대무용, 댄스스포츠 등 다양한 장르 경험을 통해 무용에 대한 이해와 심미적 안목을 함양하고자 하였다. 그에 반해 북한은 군중으로서 정형화된 무용 표현과 움직임의 기술적 측면을 중시하였고, 남녀군중무용을 완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족무용 동작 위주의 실기학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남북한 무용교육의 차이를 이해하고 다름의 간극을 좁혀가는 학문적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