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상호이해교육 방안 탐색
...사회과 관련 교과서의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일 논의 및 상대 체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초·중·고 교과서를 선정하였는데, 그 대상은 북한 교과서로는 도덕 및 지리 교과서이며, 남한 교과서는 도덕, 사회, 지리 교과서이다. 그리하여 상호 간에 통일 논의 및 상대방에 대해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 교과서에서는 김일성·김정일의 교시에 따라 핵심 내용이 소개되는 우상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또한 남한 사회에 대해 극단적인 비방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를 찬양하고 있었다. 남한 교과서에서는 특히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학술논문] 초등 사회과의 다문화교육 - 탈민족화와 재민족화의 역설 -
... 옹호하고자 한 초등 사회과의 다문화교육은 ‘한국화’를 지향하며 국가적 정체성을 재강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고학년 사회 교과서들에 대한 담론 분석을 통해 탈민족화와 재민족화의 역설 속에서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교과교육에 반영되어 왔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학위논문] 중등사회과의 통일교육에 관한 연구
...중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남북한 교육의 기본 방향 및 목표를 살펴 보고, 남북한 중등사회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체계를 통해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에서 구현된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도원칙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통일 대비를 위한 남북한 중등사회과 통일교육 내용을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준거 기준은 남한의 사회과교육과정의 주요한 기본개념의 내용체계에 터하여 설정하였기 때문에 남한 사회과인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역사, 지리 교과와 관련된 북한의 고등중학교 관련교과서에서 준거 기준에 부합된 내용들을 최대한 발췌하여 그 이질성과 동질성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학술논문] 통일 대비 북한 사회과 교과서 편수용어 분석 -『사회주의도덕』, 『사회주의도덕과 법』교과서를 중심으로 -
사회과교육은 그 사회의 이념과 체제, 기본 질서를 내용 요소로 다루는 교과이다.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를 비교해 보는 것은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는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초급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인 ‘사회주의도덕’과 고급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인 ‘사회주의도덕과 법’ 교과서에 수록된 편수용어를 분석하였다. 우리 교육부가 발간하는 편수자료와 비교해 보면, 북한 사회과 교과서에는 수록된 용어는 남한 사회과 교과서에 비해 그 개수가 적은 편이다. 그리고 수록 빈도에 따른 분석에서도 북한 사회과 교과서는 사회과학적인 용어보다는 사회주의 체제와 관련된 용어의 빈도가 두드러지게 많았고 용어의 등장 맥락 역시 북한 사회의 가치와 이념을...
[학술논문] 사회과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권교육의 과제와 방향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인권 보장을 위한 사회과 다문화 인권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권교육 내용이 드러난 2007개정교육과정과 2009개정교육과정 시기의 교과서를 사회과 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의 과제와 개선 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주로 지식 영역 중심의 서술이 많으며 가치·태도 영역과 시민 행동 영역에 대한 내용이 미흡하여 보완이 요구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온정주의적 서술 형태에서 벗어나 이들 존재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측면을 제시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조사하기 기능에서 학생들이 문제의식을 가지고 찾아보고, 상호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치·태도 영역에서는 당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