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동아시아의 화해와 협력을 향한 새로운 사유를 모색하다.
동아시아지역 내 통일 문제는 단순히 영토적 통합을 넘어서, 수세기에 걸친 역사적 상흔과 현대적 도전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다층적인 과제다. 한국과 중국은 각각의 정치적 맥락 속에서 통일을 향한 비전을 추구해 왔지만, 이 과정에서 민중의 인식과 정체성은 복잡하게 분화되어 왔다. 이 책은 한국과 중국의 통일정체성을 비교하며, 분단체제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미래를 위한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는 통일정체성을 단순한 정치적 슬로건이나 제도적 목표가 아닌, 민중의 의식 속에 자리한 정체성 형성 과정으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동아시아의 미래가 단순히 정치적 협상으로 결정될 수 없는...
[사회/문화]
...나아가 주민들의 생산자 혹은 소비자로서 특징 및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에 주목함으로써 시장화가 개인의 일상, 정서, 지향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실제 북한 주민들의 시장에서의 경험과 관행들을 통해 일상세계에서의 변화를 포착하고, 그것의 함의를 분석하도록 한다. 북한 이탈주민의 심층면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주요한 변화는 시장에서 부의 축적이 일어나면서 사회적 계층이 분화되고 있으며, 여성이 시장 활동의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면서 가정 및 사회에서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고, 부의 축적과 정치권력이 결탁하며 상호의존적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Ⅴ장에서는 사회주의국가의 체제 이행기 시장경제를 수용하는 체제...
[학술논문] 북한의 시장화와 숙련불평등
...불평등을 제거하지도 못했다. 시장화의 충격으로 인해 변화된 숙련형성체계는 계획특수숙련과 시장특수숙련을 분화시켰다. 변화된 계획숙련형성체계는 생산단위로 권한을 분산하고 숙련에 따른 차별을 제도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물자부족의 만성화로 인해 계획의 복원이 지체되면서 숙련형성을 촉진하기보다는 계획 내의 숙련에 따른 양극화를 초래했다. 시장의 등장에 따라 나타난 시장숙련은 개인적 경험과 능력에 따라 숙련형성이 이루어진다. 시장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장숙련은 점차 고도화되며 기능과 규모의 면에서 분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결과 시장 내의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재계층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북한에서는 계획과 시장의 공존이 장기화되면서 숙련과 관련된 흥미로운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작동숙련을...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한중관계
...북·중관계 역시 냉전시대의 동맹관계에서, 전통적인‘특수’관계로, 그리고 정상국가간의 관계로 전환하고 있다. 이는 북·중관계가 단지 이데올로기적인 유대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복합적인 전략, 외교, 안보, 경제적 이해관계에 의해 규정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중국의 북한에 대한 사고도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으며, 북한의 전략적 가치를 놓고 그 만큼 고민도 늘어나고 있다. 세 번째, 미·중관계 역시 1970년대 이후 적대관계에서 탈피하여, 전략적 이해에 따라 경쟁과 협력의 복합적 구조로 얽혀있다. 21세기 들어서 미·중은 당분간 협력과 갈등이 병존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전략적 경쟁의 관계에서 전략적 공존(Consortium)...
[학술논문]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으로 본 북한사회 내 정보 이동성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화
이 연구는 한반도 주변국들의 급속한 디지털 테크놀로지 발전과 더불어 북한의 대내외 경제 및 국제 환경 변화로 인해 북한 내외부 연결망에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참여함으로써 나타난 현상과 특징을 통해 블랙박스화된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최근까지 북한사회 내 다양하고 역동적인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연결망을 추적하여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사회 내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새로운 연결망으로 포획되면서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일상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은 생존 연결망, 경제 연결망, 정보...
[학술논문] 미⋅소 군정기 중국 언론의 북한인식 - 소련군의 점령정책을 중심으로 -
...了同时撤军论。对此,人民日报批判美國意图把韩国沦为美国的殖民地和军事基地。另外,人民日報還 详细报道了朝鲜的社会主义体制形成和政府成立过程,高度评价了人民体制的国家。表露出对将来中国 社会主义国家建设的自信,也表达了对东亚民族解放运动的深切关心。冷战形成期通过人民日报版面, 不断反复地向中国人传达了关于韩国和朝鮮的消息:美军政的失败和韩国人民的反抗,强调了朝鲜政权 建立过程中苏联的角色及朝鲜人民的全面支持而取得的胜利。中共认为朝鲜的社会主义体制建立过程为 新中国建立提供了鲜明的指引方向。 内战期间,中共以满洲为中心,与朝鲜保持公开非公开的接触,得到人力物力方面的大力帮助, 保持了实际性的协助关系,但是并未对外公开。从整体看,人民日报报道的韩国政治社会的纠纷和经济 失政意味着资本主义的失败,朝鲜快速安全的人民自治和经济国有化展现了社会主义的优越性。战后,...
[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상고시가
...‘개별국가들을 초월하는 보편성’이라는 중세문학적 성향을 읽어냈다. 고대사회에 이미 이루어진 착취계급과 피착취계급의 분화에 따라 양자 간의 대립과 투쟁을 바탕으로 계급 간의 이해관계를 반영하여 지배계급에 복무하는 ‘반동적 문화’와 착취 및 억압에 신음하는 하층민들의 요구를 구현한 ‘진보적인 문화’로 갈라지게 되었고, 고대의 노래들 역시 그런 현실의 소산이라는 것이 그들의 견해였다. ‘집단적(공동적) 노동, 집단예술’ 등을 바탕으로 계급투쟁 이전의 원시성만 강조한 해석의 이면에서 이념지향의 욕구나 읽어내는 데 그친 것이 <구지가>였고, 노예 소유자 사회의 단계에 이르러 ‘개인의 정서와 감정을 반영한 서정가요’로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