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두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즉, 현재 일반적으로 북한에서 ‘아동 영화(애니메이션)’라 불리는 것은 우리의 기준대로 말하자면 ‘아동용 만화 영화’에 해당한다. 일반 영화와 달리 유독 애니메이션만이 북한에서 선전성을 띠지 않는 이유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김정일의 관심 덕분이다.
김정일은 아무리 아동 영화를 잘 만든다고 할지라도 그 캐릭터들이 실제 사람만큼 섬세하게 움직일 수 없고 복잡한 감정 세계 및 심리적 현상들을 사람만큼 자연스럽게 표현하지 못하므로 항일 유격대원, 인민군대가 자칫 왜소하게 묘사되어 그 진실성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이유로 이를 금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혁명 전통 등의 심각한 내용 대신 동화나...
[사회/문화]
[북한 애니메이션(아동영화)의 특성과 작품정보]는 북한 애니메이션으로 알려진 북한 아동영화의 특성과 작품 정보를 정리한 자료집이다. 이 책에서는 북한 아동영화는 226편에 대한 정보를 가나다순으로 정리하고, 정보 내용은 작품 제작처와 제작년도, 런닝타임, 유형, 스탭정보, 주제, 줄거리를 기본으로 하고, 작품에 따라서 특별히 참고할 사항은 특기사항으로 정리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의 아동영화 『고구려의 젊은 무사들』에 나타난 강성국가의 욕망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에 창작된 아동영화 『고구려의 젊은 무사들』에 나타난 북한의 강성국가의 욕망을 살피고 있다. 2012년 주체 101주년으로 김일성 시대에서 벗어나 강성대국 원년이 되는 해이다.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 북한은 국방의 자위와 경제적 자립을 갈망했다. 이러한 북한의 욕망은 아동교육과 아동영화 지침을 통해 창작에 반영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소설을 애니메이션화한 『고구려의 젊은 무사들』의 주인공 을기의 성장기를 통해 북한의 강성국가에 대한 욕망을 살피고자 한다.
[학위논문] 1960~1970년대 북한 애니메이션 연구
북한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 중 초기 역사인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고 검증되지 않은 내용들도 많으며, 국내 연구들 중에는 북한의 애니메이션은 정치적인 색이 비교적 없는 북한의 문화예술 분야라고 보는 견해들이 있다. 하지만 북한의 유일사상 체계는 훨씬 강력하게 북한 인민들의 삶 전체를 지배하고 있으며, 북한 애니메이션도 1967년에 유일사상이 등장한 이후에 급격한 변화를 겪는다. 북한은 이 변화가 김정일의 ‘아동영화이론’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그들의 애니메이션을 세계 유일의 ‘주체적 아동영화’라고 선전한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애니메이션의 초기 역사를 정확한 자료를 통해 정리하고, 김정일의 ‘아동영화이론’을...
[학술논문] <백두산이 보인다>와 항일무장투쟁 영화
<백두산이 보인다>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을 소재로 한 최초의 작품이다. 북한에서 1950년대 중반 혁명의 후비대를 양성하기 위해 아동영화 제작을 강조하였다. 이때 만들어진 영화가 한설야의 대표작 『력사』을 각색한 <백두산이 보인다>이다. 이 영화는 모스크바에서 영화유학을 마친 김락섭이 연출을 맡았으며, 조선작가동맹부위원장인 윤두헌이 한설야의 원작을 각색하였다. 또한 문예봉, 강홍식, 유원준 등 당시 북한에서 자랑하는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아동단원 호철을 주인공으로 설정함으로써 김일성의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키지 못했다. 또한 항일유격대원들의 노력 역시 제대로 묘사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일무장투쟁을 본격적으로 다룬 작품이라는 점과 항일빨치산에 대한 전기적...
[학술논문] 1960년대 북한영화 속 미국 표상 연구
...북의 민중들을 착취하고 파멸에 이르게 하는 악랄한 존재로 미국을 형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수단으로서의 적대적 미국 표상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영화에서도 발견된다. 직접적으로 미군을 등장시켜 애니메이션 특유의 과장된 표현으로 풍자하는아동영화를 비롯해 승냥이, 여우 등의 의인화된 캐릭터 표현으로 은유적으로 미국에 대한 적대적 이미지를 교육하고, 우화적 이야기로 징벌하는 이야기가 아동영화에서 재현된다. 이처럼 1960년대 북한영화의 확장 속에서 나름의 방식으로미국 표상이 다양화 혹은 분화되는 지점들이 있으며, 이는 1960년대라는 시대적상황 아래 북한의 정치, 예술창작 이념들이 영화로 어떻게 이입되는지를 확인할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표상을 영화적으로 확인할 수있는 특징적인...
[학술논문] 북한 옛이야기 연구 - 「놀고먹던 꿀꿀이」를 중심으로 -
북한의 옛이야기「놀고먹던 꿀꿀이」는 모든 북한 사람이 알 정도로 유명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본고는 먼저 북한의 꿀꿀이 옛이야기를 전체적으로 정리·분석하고, 북한에서 가장 오래된 꿀꿀이 이야기인 「놀고먹던 꿀꿀이」를 중심으로 이야기의 역사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의 교육 양상을 살펴 보았으며, 캐릭터 분석도 진행했다. 우선 북한에서 꿀꿀이와 관련된 2008~2011년의 글과 아동영화 작품 총 18개를 뽑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세 가지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북한의 모든 작품에서 꿀꿀이는 부정적인 성격을 가진다. 둘째, 대부분의 글로 된 우화는 농사짓기와 노동의 환경 속에서 발생하였다. 셋째, 꿀꿀이의 친척인 똘똘이는 항상 예의바르고 다른 사람의 칭찬을 많이 받는 캐릭터이다. 게다가 북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