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상자료 분석을 통한 북한 주체적 발성의 실현양상
Music in North Korea has its significance greater than mere a genre of art. Since the nation’s division, North Korea took advantage of music to be a political means intended to effectively emphasize and disseminate the Chuche idea, and developed the music in the name of so-called “Chuche music.” In particular, Kim Chong-il’s ruling era is called as the time of “music politics”
[학술논문] 위성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토지피복 및 식생 변화 추정
북한지역의 온난화는 전 세계 평균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에너지난과 식량난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산림이 훼손되어 왔다. 이로 인하여 가뭄과 같은 기후 극한사상에 의한 자연재해에 취약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역량의 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나 북한 정부는 이를 자력으로 감당할 여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 전역 및 북한에서 농지의 면적이 가장 넓은 황해도 지역을 대상으로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4년까지 토지피복 변화와 산림 변화를 분석하였다. MODIS 토지피복 산출물을 이용하여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였고, MODIS의 정규분포식생지수(NDVI)를 통해 산림 면적의 변화를 14년간 월별로 나타내었다. 북한의 산림 면적은 2013년 53% 정도로...
[학술논문] 해외 기록영화에 담긴 해방 전후 남북한의 사회상 비교
이 글은 영상자료의 사료적 가치에 주목해서 해방과 분단의 사회상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주목했던 분석 대상은 영상자료에서도 ‘해외 기록영화’이다. 미군정기 국내의 영상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해외의 기록영화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기록영화는 시각자료이자 1차 사료의 성격을 갖는다. 기록영화는 역사 현장의 모습을 직접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록영화를 비롯한 영상이미지는 목적을 가지고 촬영되었다. 영상기록이 당시의 시대를 그대로 보여주는 현장성도 있지만, 일상의 사건과 삶의 모습을 이미지로 기록했던 영상물은 촬영 당시의 기획자의 의도가 가미된 편집의 요소를 가지고 있다. 미국은 공보부라는 민간영역 뿐만 아니라 군대에서도 많은 영상물을 생산했다. 미군 육군통신대는 미군...
[학술논문] 접경지역 빛합계 지수의 지정학·지경학적 함의: 중국 단둥시를 사례로
...촬영된 Stable Lights 영상자료로부터 랴오닝성과 단둥시의 빛합계 지수를 도출한 후 이 지표와 경제 수준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랴오닝성의 빛합계 지수는 다른 성급 지역의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었고, 지난 20여 년 동안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실질 성장률과 1인당 평균 임금 등 이 지역의 경제 수준 향상을 지시하는 경제 지표 변화를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단둥시의 빛합계 지수는 다른 지급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는데, 이는 주요 경제 지표에 기초한 이 도시의 경제적 지위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전 시기에 비해 1998~2007년 사이 대북무역이 활성화된 단둥시 시할구의 빛합계 지수의 연간 증가율이 높아졌고, 비슷한 기간 동안 북중 교역액과 북한의 대중 수출액도 증가하는 패턴을...
[학위논문] 탈북 청소년 커밍아웃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 “나는 북한에서 왔습니다”
...자신이 북한에서 왔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시작하였다. 연구자는 탈북 청소년이 자신의 출신을 밝히는 것은 단지 자기 정보를 말하는 것만이 아니라 개인적 체험과 사회적 배경이 결합한 복잡한 맥락이 있을 것으로 생각했으며; 이에 따라 탈북 청소년의 자기 출신 공개의 문제를 ‘커밍아웃’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커밍아웃 체험에 관한 실체이론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Rennie의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3년 6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커밍아웃 체험을 한 20명의 탈북 청소년을 집중 면접하고 탈북 청소년 생활 시설에서 참여 관찰했으며; 각종 문헌과 영상 자료를 수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