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크게 3가지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북한의 영어교육 상황 및 통일을 대비한 영어교육, 영어교과서 분석의 범주, 북한이탈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시기별 특징으로는 전체 기간 동안 큰 3가지 범주들이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지만, 각 시기별로 두드러지는 범주가 있었다. 1기에는 북한 영어교육의 상황, 2기에는 영어교과서 분석 연구, 3기에는 영어 교과서 분석 및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렇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북한 영어교육의 연구들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연구 대상과 방법의 키워드가 중심성이 높아지며 구체화 되고 다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술논문]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 영어교육과 관련한 연구들 71편의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을 시기별 양적 변화, 출판 동향, 연구 대상, 연구 내용, 연구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0년 이후 북한 영어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학위연구의 연구가 많았으나, 학술지 연구가 최근 들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 대상은 북한 영어교과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연구 내용에서는 북한 영어교과서 분석에 대한 내용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연구 방법은 분석 연구, 조사연구, 사례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학위논문] 북한의 영어교육 동향 분석 : 교육정책, 교수안, 교과서를 중심으로
... 북한은 영어교육 내용에서 지도자의 업적으로 연결하여 체제를 공고히 하는 교육을 여전히 실행하고 있다. 북한은 영어교육 내용에서 우수한 문화시설이나 과학기술을 소개하고 지도자의 업적임을 밝히며 칭송하는 당정책화를 실시하고 있었다. 즉, 과거 북한 개정 전의 영어교육 에서 나타났던 사상이념과 관련한 내용을 줄이고, 개정 후에는 영어교육 내용에서 제시된 자국의 우수함을 김정은의 성과로 우상화며 사상교육을 실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북한 영어교육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의 교육강령, 영어교과서, 교육잡지, 교육신문 등의 1차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는 전반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북한의 영어교육 관련한...
[학술논문] 북한이탈 주민 대상 영어교육 연구동향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d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n defectors’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using the scoping literature review method. From 2001 to 2022, research on this topic was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1) Phase 1 (2000-2011), 2) Phase 2 (2012-2019), and 3) Phase 3 (2020-Present). Each phase was analyzed using school levels, themes, and research methods. Approxima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