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히로시마현 조선인 피폭자 협의회’의 결성과 원수폭 금지운동
...재일 조선인 최초의 원폭 피해자 운동단체로 조직된 조피협의결성 배경에는 1950~1970년대를 거치면서 보다 열악해진 조선인의 삶의 변화와일본 사회의 강한 배외주의, 그리고 1955년 이후 히로시마에서 고조된 원수폭 금지운동과 1960~1970년대 손진두 수첩재판을 통해 각성된 일본 시민단체의 식민지배와 전쟁 책임에 대한 가해성의 자각이 있었다. 조피협은 결성 후 피폭자 구조와 핵무기 폐기라는 원수폭 금지운동의 목표를 공유하며 활동을 전개했다. 이들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전쟁 책임을 물으며 조선인피폭자의 실태를 밝혀 조선인 피폭자 운동을 처음으로 전 세계 반핵·평화운동 안에 자리매김했다. 또한 일본과 국교가 없다는 이유에서 어떠한 피폭자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는 북한 피폭자의 원호 문제까지...
[학술논문] ‘반핵․평화를 위한 조선피폭자협회’의 결성과 북일 원폭피해자의 교류․지원활동 연구
...분명히 하고, 그것과 북한피폭자의 관계라는 요인을 보다 적극 개입시켜, 그동안 논의가 부족했던 북한피폭자 단체인 ‘반핵․평화를 위한 조선피폭자협회’의 결성과 북한원폭피해자의 실태 그리고 북일 피폭자간 교류․지원활동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과거 전쟁 평가에 대한 공적인 검증이나 설명을 회피해온 일본의 역사문제가 북한피폭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북한피폭자 실태를 통해 구체적으로 검증한다. 또한 북일 피폭자 간의 교류․지원활동은 북한과 일본의 사회운동을 매개한 ‘일조우호운동’의 한 방식이었는데 그 역사를 ‘원수금’, ‘재조피폭자 지원연락회’, ‘히로시마현 의사회’의 북한피폭자와의 교류와 지원활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