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상호문화이해를 통한 북한이해교육의 개선방안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문화교육에 근거한 북한이해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한 고찰이다. 2000년대 이후 통일교육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그 내용이 축소되어 왔지만,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정치, 이념, 경제, 군사 등은 여전히 강조되는 등 북한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바탕으로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많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해교육의 현황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할 것이다. 또한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북한 일상생활연구 성과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한 후 상호문화교육 접근에 따른 수업 모듈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한반도 평화교육의 방향 탐색: 남북한 주민 갈등과 통합교육을 위한 제언
...관점에서의 평화연구가 한반도의 고질갈등 이해 및 갈등전환적 시각의 필요성에서 이루어졌음을 살펴본다. 통일교육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통일지향적 평화교육 논의들, 그리고 평화교육 프로그램을 탈분단교육, 상호이해교육, 갈등전환교육의 내용, 성과, 그리고 한계를 살펴보았다. 한반도 상황에서의 평화교육은 분단체제에서의 남북주민 통합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 남북한 주민의 갈등과 통합의 문제는 평화교육의 중요 영역이다. 따라서 탈북민과 남한주민 간 갈등과 상호작용, 통합에 관한 연구의 특징, 성과, 그리고 한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남북한 주민 통합연구가 평화교육의 상호문화이해와 심리정서적 접근 및 갈등전환의 관점을 적극 활용 할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평화교육의 핵심 영역으로 남북주민 상호이해와 통합교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