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이 연구는 최근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과 교과서 정책의 변화 방향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북한은 2012년 9월에 기존의 11년 의무교육제를 12년 의무교육제로 변경하는 법령을 발표하였고 이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있다.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분석을 위해서 2013년에 발표된 북한의 소학교,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 교육과정안을 이전과 비교하였고, 소학교 1학년 수학과 사회주의 도덕 그리고 초급중학교 1학년 조선력사 교과서의 단원편성과 내용구성 방식을 이전 교과서들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등교육 전체에서 지도자 관련 과목과 수업시수를 늘려 3대 세습으로 이어지는 지도자 체제를 강화하고, 초급중학교 단계에서는 물리, 화학 등의 과학교과들을 자연과학으로 통합하는...
[학술논문] 통일 대비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연구에 대한 시론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통일 대비 교육 논의에서 거시적인 수준의 교육과정 논의와 더불어 미시적인 수준에서 개별 교과별로 교과의 핵심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관련 교과 전문 용어 혹은 개념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한 후, 4장에서는 고등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를 1) 학술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관련 선행 연구, 2) 교육 차원의 남북한 ‘전문 용어’...
[학술논문] 남한과 북한의 화학교육 내용 요소 비교 연구
...남한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화학 내용 요소와 북한 김정은 시대의 초, 중등 과학 교과서의 화학 내용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북한 화학교육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북한이 남한의 화학교육보 다 시기적으로 선행하여 학습하는 내용 요소와 북한이 남한보다 양적으로 더 많이 학습하는 내용 요소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 상은 남한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소학교3 ‘자연’, 초급중 1, 2 ‘자연과학’, 고급중 1, 2 ‘화학’교과서이었다. 남한 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화학의 일반화된 지식에 따라 분석틀을 구성하고, 그 분석틀에 따라 북한과 남한의 화 학교육 내용요소를...
[학술논문] 민주화 이전 시기, ‘애국심 교육’의 변천과 그 특징-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87년 민주화 이전 시기까지, 시기별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도덕과의 애국심 교육내용과 그 특징을 밝히고, 그것이 도덕과 교육에서 가지는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기실 초·중등 학교에서 도덕과는 애국심 교육을 담당했던 핵심 교과였다. 본 연구에서 주창하는 ‘민주화 이전시기 애국심 교육’의 핵심을 일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시기에는 개인의 윤리적 가치보다는 민족과 국가 충성을 강요했다. 둘째, 해당 시기의 애국심 교육에서 국가이념은 한편으로는 민족주의를 기반으로 국가발전과 국가주의 경향을 가졌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저한 반공에 기초하여 북한에 대한 부정, 민주주의의 우월성, 평화통일을 동시에 주장하였다. 셋째, 민주화 이전 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