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임스 로즈노(James Rosenau)의 변화 개념으로 본 분단국가의 대(對)정책: 대북정책 수립에 주는 역설
본 연구는 제임스 로즈노의 세계에 대한 ‘분합(fragmegration)’과 ‘원근접성(distant proximities)’ 개념에서 나타난 변화에 대한 인식을 분단국가의 상대국에 대한 대(對)정책에 응용, 분석하였다. 분단국가 대정책이 통합 성공에 필요한 부분을 성공 사례인 서독의 대동독정책과 한국의 대북정책에 적용하였다. 분석에는 로즈노의 변화에 필요한 개념으로 수평-수직 네트워크, 새로운 형태의 정부, 거버넌스, 정책을 위해 필요한 권위 틀(spheres of authority) 등을 중점적으로 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대북정책은 6.25 전쟁으로 인해 더 많은 관리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역대 정부의 정책을 살펴볼 때 수평-수직 네트워크보다 대통령 개인의...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들의 Diaspora로서 구성한 통일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모델을 채택하였고 지오르기(Giorgi, 2009)가 제시한 현상학적 자료분석 절차에 따랐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37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디아스포라의 영광의 귀환, 평화와 공존의 철학 발상지, 거대 내수 시장의 신천지, 미래 성장 동력의 확보, 민족의 동질성 회복, 이념의 정분합적 통합, 유라시아 꿈의 시원, 평화 수호의 무력 국가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논의를 바탕으로 교회공동체가 중심이 된 체제 극복의 사회교육, 북한이탈주민들의 통일운동 활동가의 양성, 남북한 기독교인들의 신앙공동체 활동과 이를 매개로 한 초교파 차원에서의 통일 운동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