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외 탈북자 보호와 정착촌 설치문제 -탈북자의 강제북송 억제 및 인도적 보호의 관점에서-
현재 해외에서 은신하고 있는 탈북자들은 강제송환, 인신매매, 노동력 착취 등의 위험 하에 놓여 있다. 중국은 이들이 난민이 아니라 불법월경자에 불과하다고 강변한다. 그러나 이른바 ‘국가탈출’ 개념에 의하면 탈북자들은 탈북하는 순간 정치적 의견을 달리하는, 즉 저항적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파악되어 난민협약 상의 난민으로 규정될 수 있다. ‘전가된 정치적 의견’이란 법리를 적용할 경우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설령 그러하지 않을지라도 탈북자들은 대체적으로 UNHCR의 관행과 최근 국제난민법의 발전동향을 감안할 때 현장난민 내지 위임난민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중국이 탈북자들을 박해받을 우려가 있는 북한에 강제송환을 하는 것은 그들도 가입한 난민협약에 저촉된다고...
[학술논문] 中國과 北韓의 國境 管理實態 -1950~1960年代를 中心으로-
...‘조중변계조약’이 체결되어 북ㆍ중 쌍방 간에 국경의 안전과 사회질서 유지, 국경 하천에서의 선박의 운항과 주민의 통행, 각종 재해나 사고처리 문제 등을 둘러싼 양국의 기본적인 협의가 이루어져 국경의 관리ㆍ이용ㆍ통제에 관한 기본적인 지침이 정해졌다. 이를 계기로 양국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국경을 관리ㆍ이용ㆍ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불법 월경자 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정하고 상호간 연락체계를 더욱 긴밀히 갖추고 불법 월경에 대한 단속을 한층 강화해나갔다. 이즈음 북ㆍ중 양국은 변경지역에서의 각종 재해예방과 사고처리를 위한 議定書를 체결하고 그것을 구체화해서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또한 북ㆍ중 양국은 각종 전염병과 병충해 예방, 魚族자원의 획득ㆍ보호 문제에서도 일정한 협조체제를...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 인권적 차원에서의 지원 방안를 중심으로
...재중 북한이탈주민을 중심으로 지원사업 주체별 역할 및 난민적용의 문제를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난민협약에 따른 정치적 난민 인정여부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일시적 보호(Temporary Protection)의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난민인정에 있어 관건은 중국당국으로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관된 난민인정 거부와 불법월경자로의 취급은 변화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난민인정 보다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일시적 보호인데 이것 역시 중국당국의 동의가 있어야 하며 일시적 보호기간이 경과한 후에 자발적 귀환을 전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넷째로 국내 북한이탈주민 현황 및 적응 상태를 살펴보았다. 재외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에 입국하여 처음으로...
[학위논문] 탈북 청년의 정체성 연구 : 탈북에서 탈남까지
이 논문은 북한 사회의 탈출 이후 중국, 한국을 경유하여 영국으로 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탈북 청년이 경험하는 정체성 변화에 대한 연구다. 탈북 청년의 탈 국경(脫 國境)적 이동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은 삶의 조건에서 파생된 불안이 이동의 동기였으며 새로운 정체성 형성의 계기라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식량난으로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렸고, 중국에서는 불법월경자라는 이유로 극도의 신변불안을 느꼈다. 경제적 가치가 무엇보다 강조되는 한국 사회에서는 막연하면서도 지속적인 자신의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을 떨칠 수 없었다. 이러한 불안을 야기시킨 삶의 조건들은 탈북 청년의 정체성 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탈북 청년은 비교적 단기간에 다양한 구조들을 경험하고, 다양하게 호명되면서 거주 공간의 상징적 질서 속에 배치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