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은 핵을 가질 수 있는가? 인도-파키스탄 사례로 본 가능성과 한계
...돌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도 북핵 고도화와 미국 확장억제에 대한 신뢰 감소로 인해 자체 핵무장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무력충돌 포함 핵개발 이후 지속되어 온 인도-파키스탄 간 분쟁 사례를 분석하면 한국 경제에 끼치는 악영향, 국제 사회 위상, NPT 등의 이슈를 차치하고 군사 안보적인 측면에서만 보더라도 장점보다 단점이 많아 보인다. 한국의 자체핵무장은 남아시아의 경우처럼 북한으로부터의 대규모 침공을 통한 전면전을 방지하는 데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지만 끊임없는 긴장과 위기, 소규모 무력충돌, 종국에는 핵무기 사용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증대시킬 안보딜레마의 악화를 야기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북핵 대응 방안 고려 시 핵무장 옵션에 대해 이러한 점을 냉철하고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핵무장한 약소국 북핵신화와 불안정-불안정의 딜레마: 비대칭 억지전략의 과제
...과소안보화와 과잉안보화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비대칭 억지전략의 과제를 검 토한다. 핵무장한 북핵문제가 실존적 위협이 되면서 남북 및 한미동맹의 군비경쟁도 실존적 과제가 되었다. 핵무기를 보유한 북중러의 삼국의 전략적 협력은 미국의 확장억지에 의존해 야하는 한일의 안보딜레마를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핵을 보유했지만 핵 지휘통제체계와 재 래식 전력에 있어서 열세이 있는 핵무장한 약소국인 북한과의 핵 군비경쟁은 비대칭 군비경 쟁의 안보 딜레마를 구조화한다. 본 연구는 핵무장했지만 약소국인 북핵위협의 전략적 성격 을 ‘불안정-불안정 딜레마’로 설명하고, 핵을 사용할 수 없는 조건으로서 거부적 상쇄, CNI 기반 통합적 확장억지 및 집단적 핵 억지 등 비대칭 억지전략의 과제를 검토한다.
[학술논문] 중국 시진핑 지도부의 新 북핵 정책 동향 및 시사점:4차 및 5차 북핵 실험을 중심으로
4차 북한 핵실험 이후, 중국은 역대 가장 ‘강력하고 실효적인’ 유엔 안보리 결의 2270호의 대북 제재를 이행하면서도 북한 체제의 불안정 사태를 방지하면서 북중 관계를 관리해 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중국의 행태는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이는 중국이 대북한 ‘전략적 딜레마’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중국은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북핵 정책 동향을 보이고 있다. 첫째, 대북 제재를 지속하면서도 대화 등 대북한 관리 노력을 병행하고 있고, 둘째, 북핵 대응과 한국 내 사드 배치에 대한 대응을 분리하여 접근하고 있으며, 셋째, 미국과는 ‘신형대국관계’ 구축을 위한 시험대로서 북핵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의...
[학위논문] 構成主義 視覺에서 본 韓半島 平和體制 構築 方安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 제휴관계를 강화하는, 이른바 대결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높은 경제성장과 군사 현대화를 통해 지역의 강대국으로 등장하면서 ‘중국위협론’의 현실화 가능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중국위협론과 함께 ‘미국패권론’의 부각은 역내 안보딜레마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북한의 핵 문제는 역내 안보를 불안정하게 하면서 동북아 평화와 안정을 흔들고 있으며,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에 따른 5.24 대북조치 이후 남북한 관계도 경색되어있다. 이는 동북아 지역의 역동적인 경제발전과 한ㆍ중ㆍ일 간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심화에 역행하고 있으며, 경제적 협력이 정치․군사적인 협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자유주의자의...
[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의 핵 위기 안정과 딜레마: 구조안정과 위기안정
...대륙간탄도미사일 성능 개발을 가속화하다 왜 갑자기 협상의 자 리에 나서게 되었는가? 북한은 상대방의 방어와 보복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핵을 통해 어떻게 체제 의 안정을 추구하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핵을 통해 체제 안정의 보장을 확립하려 하는가? 본 연구 는 그 같은 질문의 해답을 북한의 ‘위기안정(crisis stability)’ 전략에서 찾고자 한다. 즉 김정은 체 제의 핵‧무기개발 가속화는 국제체제 차원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국가 간 위기를 극대한 후 협상을 통해 체제의 안정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그러나 ‘위기안정’은 협상의 결렬 된다면 다시 위 기가 고조될 수밖에 없는 ‘위기의 불안정’이라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함께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