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중 패권 경쟁 시나리오와 북한의 대응 전략 분석
... 분석의 이론적 틀로는 국제 체제 이론, 동맹 정치론, 수정주의 국가 이론을 활용하였다. 북한의 전략은 각 시나리오에서 △동맹 정책, △핵전략 및 핵태세, △대남·대미 전략 방법론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열전 시나리오에서는 북한이 사슬결박(chain-ganging)형 동맹 전략, 공세적 비대칭 확전(asymmetric escalation) 핵태세, 그리고 대북·대미 고강도 전략 도발을 통해 한반도 정세의 급격한 격화를 유도할 가능성이 높다. 신냉전/냉평화 시나리오에서는 비용 전가(buck-passing)형 동맹 외교, 선언적 공세와 실질적 억제를 병행하는 이중 핵전략(dual nuclear strategy), 그리고 제한적·국지적...
[학술논문] 중국의 핵전략 발전에 관한 소고: 프랑스 핵전략과의 비교
...핵전략 분석을 통해 탈냉전 이후 현대 국제사회의 핵보유국들의 핵전략에 대한 서설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공식 핵보유국 중 중국의 핵전략은 냉전시기 프랑스와 같이 자국의 핵심적 이익추구와 함께 현대의 고도로 정밀화된 무기체계기술에 따라 재래식 전력의 보강으로서 유연성을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핵전략은 제2격력을 체계화함으로써 핵전력의 전략적 유용성을 극대화라는 전략이라 볼 수 있다. 환언하면, 중국은 전쟁 발발시 재래식 전력에 있어 상당한 열세를 느낄 시에 핵확전으로 이끌 가능성을 충분히 높이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 핵전략 연구는 ‘중국의 특색적’ 핵전략이 지역 핵국가들은 물론 북한의 핵전략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봐야 할 것이다.